제 15 강 공망론(空亡論)
공망(空亡)이란?
공망(空亡)이란, 없다. 비어있다. 인연과 福이 박하다. 결핍(缺乏)되다. 등 여러가지 뜻을 갖고 있다. 대체로 사주중에 공망(空亡)이 있으면 사주가 불길(不吉)해진다.
1, 육갑공망(六甲空亡)
1) 六甲공망이란 天干10자, 地支12자가 되므로 天干과 地支를 육순(六旬)으로 배열하면 지지가 2자가 남는데 이것을 육갑공망이라 하고 空은 陽支를 말하고 亡은 陰支를 말하는데 合하여 空亡이라 부른다.
2) 甲子旬에서는 戌亥
甲戌旬에서는 申酉
甲申旬에서는 午未
甲午旬에서는 辰巳
甲辰旬에서는 寅卯
甲寅旬에서는 子丑 이 공망이 된다.
2. 육갑공망(六甲空亡) 조견표(早見表)
六旬
六 十 甲 子
空 亡
一
旬
甲
子
乙
丑
丙
寅
丁
卯
戊
辰
己
巳
庚
午
辛
未
壬
申
癸
酉
戌
亥
二
旬
甲 戌
乙
亥
丙
子
丁
丑
戊
寅
己
卯
庚
辰
辛
巳
壬
午
癸
未
申
酉
三
旬
甲 申
乙
酉
丙
戌
丁
亥
戊
子
己
丑
庚
寅
辛
卯
壬
辰
癸
巳
午
未
四
旬
甲
午
乙
未
丙
申
丁
酉
戊
戌
己
亥
庚
子
辛
丑
壬
寅
癸
卯
辰
巳
五
旬
甲
辰
乙
巳
丙
午
丁
未
戊
申
己
酉
庚
戌
辛
亥
壬
子
癸
丑
寅
卯
六
旬
甲
寅
乙 卯
丙
辰
丁
巳
戊
午
己
未
庚
申
辛
酉
壬
戌
癸 亥
子
丑
3. 공망(空亡)을 보는 기준
1) 공망을 보는 기준은 日柱를 기준하여 年, 月, 時에 대조하여 보는데 부부궁위(夫婦宮位)에 해당하는 日支를 볼 때는 年柱를 기준하여 본다.
2) 수장(手掌)표를 그려 실례를 들어보면 쉽게 응용할 수 있다.
3) 공망의 例示
① 乙 戊 甲 甲
卯 辰 戌 午
- 日柱가 戊辰日이므로 무진일은 甲子旬 중에 있으므로 戌亥가 공망이 되는데 月支에 戌이 있으니 空亡에 해당된다.
② 庚 丁 壬 甲
戌 丑 申 午
- 日柱가 丁丑日이므로 丁丑일은 甲戌旬 중에 있으므로 申酉가 공망이 되는데 月支에 申이 있으니 月支가 空亡에 해당된다.
③ 乙 辛 甲 己
卯 未 戌 丑
- 이 四柱는 日柱가 공망에 해당하는가를 보는 法인데 年柱를 기준하여 보라했으므로 年柱는 己丑이니 己丑은 甲申旬에 해당하고, 공망은 午未에 해당하므로 日支가 공망에 해당한다. 月支도 공망이다.
④ 壬 甲 壬 乙
申 戌 午 未
- 이 四柱는 日柱가 갑술로써 신유가 공망인데 시지에 있는 신금이 공망에 해당한다. 月支도 공망이다.
4. 공망(空亡)의 작용
1) 사주에서 공망이 되는 것은 그 기능을 마비시키는 경우가 되므로 길신(吉神)이 공망되면 길신의 작용을 못하고 흉신(凶神)의 작용을 하게 되며, 흉신(凶神)이 공망되면 흉신의 작용을 못하게 된다.
2) 대부분 공망이 사주에 있으면 육친간의 인연(因緣), 재물(財物), 인덕(人德), 건강(健康), 수명(壽命), 학문(學文)관계로서 凶의 작용을 많이 하게 된다
3) 年, 月, 時가 모두 공망이 되면 공망으로 보지 않으며 길명(吉命)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고, 사주 전체가 공망(空亡)이 될 때도 길명(吉命)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집에 비유할 때 기둥이 썩었거나 충격을 받아 집이 무너지면 다시 새집을 짓는 이치(理致)와 같이 생각하면 된다.
4) 空亡의 작용력도 사주궁위에 따라 다르다. 月支, 日支, 時支 공망은 그 작용력이 강하고 년지(年支) 공망(空亡)은 작용력이 약하다.
5) 四柱에 공망은 해당하는 육친(六親)과 궁위(宮位), 길신(吉神), 흉신(凶神), 상생상극를 살펴서 그 작용을 간명(看命)해야 한다.
6) 사주에서 공망된 地支가 세운에서 다시 공망이 되면 공망이 해소되는데 이것을 해공(解空)이라 하고, 四柱에 공망이 없는데 세운에서 공망을 만나면 이때에는 공망의 작용을 하게 된다.
7) 공망은 년운(年運)이나 월운(月運)에는 중시(重視)하고 대운(大運)에서는 공망을 보지 않아도 되며, 공망은 合이나 沖이 되면 공망이 해소(解消)된다.
공망(空亡) 보는 法
1. 궁위(宮位)별 공망(空亡)
1) 年支가 空亡되면 선대의 인연과 德이 없고 윗사람의 德이 없으며 어릴 때 고생(苦生)이 많다.
2) 月支가 空亡이면 부모형제의 인연과 德이 박하고, 청소년기(靑少年期)에 운세가 약화(弱化)되고 뜻대로 되는 일이 없으며 직장(職場)과 주거(住居)의 변동이 많다.
3) 日支가 空亡이면 부부간의 인연과 德이 박하며, 혼전에 생각하였던 인연을 만나기 어려우며 生, 死別의 수가 있고 백년해로하기 어렵다.
4) 時支가 공망이면 자손의 德과 인연이 박하고 자손들이 현달(顯達)하지 못하며 말년에 공허한 세월을 보내게 된다.
2. 육친(六親)별 공망(空亡)
1) 비견(比肩),겁재(劫財)가 공망이면 형제(兄弟), 자매(姉妹), 친우(親友), 동료(同僚)의 德이 없고 매사에 장애(障碍)가 많아 동업(同業)이 불가(不可)하다.
2) 식신(食神), 상관(傷官)이 공망되면 의식주(衣食住)에 곤란을 받게 되고 직업의 변동이나 주거(住居)의 변동이 많으며 허언장담(虛言壯談)을 잘하며 특히 女命은 자녀와 인연이 약하고 德이 없어 子女에게 의지(依支)하기 어렵다.
3) 편재(偏財), 정재(正財)가 공망이면 부친, 시모, 처의 德이 없고 인연도 약하며 큰 재물(財物)을 모으기 어렵고 금전거래에 어려움이 많이 발생한다. 특히 남명은 만혼(晩婚)할 命인데 혹 일찍 결혼하게 되면 손처(損妻)를 하는 경우가 많다.
4) 편관(偏官), 정관(正官)이 공망이면 공직(公職), 명예직(名譽職), 직장(職場), 진급(進級), 응시(應試) 등에 어려움과 직장변동이 심하고, 남명은 子女, 여명은 남편의 인연과 德이 박하여 부부(夫婦)해로하기 힘들며 남편이 하는 일에 장애(障碍)가 많게 되고, 혼사(婚事)에 어려움이 뒤따르고 만혼(晩婚)을 하게 되며 고독(孤獨)한 명(命)이 된다.
5) 편인(偏印), 정인(正印)이 공망되면 부모와의 인연과 德이 없으며, 특히 모친과 조별(早別)하는 경우가 많고 他의 도움이나 의지를 하지 말고 자수성가(自手成家)하여야한다.
6) 인성(印星)이 공망(空亡)이면 문서(文書)의 운이 없어 보증(保證)이나 매매(賣買), 임대차(賃貸借)관계로 손재(損財)를 잘 보게 되며 진학(進學), 응시(應試)에 어려움이 많고 학업(學業)을 중단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며, 혹 독학(獨學)이나 다학(多學)을 하였다하더라도 학문으로서 대성(大成)하거나 발전(發展)하기는 어렵다.
3. 五行별 공망(空亡)
1) 木이 공망을 만나면 꺾이는 고로 중도 좌절하는 수가 많다
2) 火가 공망되면 더욱 기세 좋게 잘 타므로 火공망은 실패수가 적다.
3) 土가 공망되면 무너지는 고로 凶하다.
4) 金이 공망되면 쇠는 두드리면 소리가 울리므로 명성을 떨친다.
5) 水는 공망되면 잘 흘러가므로 吉하다.
6) 공망은 오행의 성질에 따라 吉凶이 달라지므로 凶중에 吉이 있고 吉中 吉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는 공망의 조화지도(造化之道)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