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3 강 六神(十神)의 작용 2
정 재(正 財)
1. 정재(正財)의 성립(成立)
▷ 正(바를 정) 財(재물 재)
正財는“바를 正”정당하다, 정직하다의 뜻과“재물 財”자로 성립된 글자이다. 고로 정당한 재물을 의미한다. 정재는 정당한 노력의 대가로써 월급을 받는 모든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의 재물에 속한다.
2. 정재(正財)의 육친(六親)
1) 정재는 양극음으로 음양배합을 잘 이루어 男女가 배합하는 이치로 나의 처가 되는 것이다. 예컨대 甲일주가 己자를 만나는 경우 己土 정재는 甲木에 의해 木剋土로 제복되고 있는 경우다. <陽干에만 해당>
2) 정재는 남녀 공히 나의 백부(伯父), 부친(父親), 숙부(叔父), 고모(姑母)를 뜻하고, 남명에는 처와 첩, 처의 형제, 형수(兄嫂), 제수(弟嫂)가 되고, 女命은 시모(媤母)가 되기도 한다.
3. 정재(正財)의 속성(屬性)
1) 정재는 소유하는 재물(財物)로 남자에게는 소유하는 여자, 즉 처가 되는 것이며, 명랑(明朗)하고 결혼운이 좋은 반면에 주색(酒色)을 좋아하며 색정(色情)에 빠질 우려성이 있다.
2) 여자는 남자에게 소유되어지는 者이니 정재가 많으면 여자가 많은 것이 되어 부부해로(夫婦偕老)가 불가할 수 있고, 이별할 수도 있다.
3) 그 속성은 정의(正義), 공론(公論)을 존경하고 시비를 분명히 하며 의협심이 있고, 명예, 자산(資産), 신용, 복록, 길상(吉祥)을 나타낸다.
편 재(偏 財)
1. 편재(偏財)의 성립(成立)
▷ 偏(치우칠 편) 財(재물 재)
편재(偏財)는 치우치다, 기울다, 편중되다의 뜻을 지닌 偏字와 “재물 財” 자로써 한쪽으로 치우친 재물을 의미한다. 또한 한꺼번에 얻어지는 재물인 편재는 비교적 손쉽게 얻어지는 재물을 의미하기도 한다.
2. 편재(偏財)의 육친(六親)
1) 편재는 아극자(我剋者)로써 내가 극하는 것인데, 음양(陰陽)이 日干과 같은 것이다. 정인(正印)이 나의 엄마가 되는데, 엄마의 官星이 되는 편재(偏財)는 부친(父親)을 나타낸다.
2) 편재는 남여 共히 부친(父親)과 백부(伯父), 숙부(叔父)가 되고 남명에는 처, 첩, 첩의 형제, 형수(兄嫂), 제수(弟嫂)가 되고, 女命에는 시모(媤母)가 되기도 한다.
3. 편재(偏財)의 속성(屬性)
1) 편재는 중인(衆人)의 재물(財物), 횡재(橫財)나 타방(他方)의 財物을 뜻하고, 경재호의지심(輕財好義之心)이 있고 의리가 있으며 돈복과 여자福이 있는 반면, 이로 인하여 재화(災禍)를 당하기 쉽다.
2) 특히 남자는 풍류지심(風流之心)이 있어 외첩(外妾)을 두거나 여난(女難)을 당하기 쉽다.
3) 강개지심(慷慨之心), 봉사정신(奉仕精神) 이재능통(理財能通), 중인지재(衆人之財), 통솔력(統率力), 용인술(用人術), 가무(歌舞), 이성문제(異性問題), 염문(艶聞)이 있고 조금 편굴한 점은 있지만 자성(資性)이 담백(淡白)하고 수식(修飾)이 없는 기질(氣質)을 나타낸다.
정 관(正 官)
1 정관(正官)의 성립(成立)
▷ 正(바를 정) 官(벼슬 관)
정관(正官)은“바를 正” 자에“ 벼슬官” 자로써 나를 剋하는 극아자(剋我者)이면서 음양이 다른 星이다. 나를 극하는 것은 官星인데 正官은 합리적인 것이 특유의 모습이다. 正官은 잘 짜여진 조직사회와 행정관(行政官), 직장, 윗사람 등을 正官으로 이해하면 무난하다.
2 정관(正官)의 육친(六親)
1) 正官은 나를 剋하는 五行이 되는데 그 中에 日干과 음양이 서로 다른 것이 正官이 된다. 이것은 一夫의 양과 一婦의 음이 배합하는 이치와 같으므로 정재가 낳은 자는 관성이 되니 남자에겐 자식이 되고, 여자에겐 남편이 되는 것이다.
2) 正官과 偏官은 거의가 同一한 성정(性情)을 가지고 있으며, 자식, 조카, 매부와 매형(妹兄), 妹弟 등을 의미하고, 여명은 정혼(正婚)의 남편, 남편의 형제, 시누이가 되기도 한다.
3. 정관(正官)의 속성(屬性)
1)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데는 규율이 있어야 모든 난봉(難捧)을 사전에 막을 수 있듯이 官이란 아신(我身)을 관제(官制)하는 자를 말한다.
2) 正官은 길상(吉祥)을 나타내나 과다하면 곤궁(困窮)을 면치 못하고 女命은 일부종사(一夫從事)를 못한다..
3) 그 속성은 품행단정, 재주, 지혜(知慧), 명예(名譽), 신용, 용모단정(容貌端正), 자비심(慈悲心), 등의 기질을 지니고 있으며, 인품(人品)이 순정(純正)하고 윗사람을 존중하며 가계(家系)가 정통(正統)이다.
편 관(偏 官)
1. 편관(偏官)의 성립(成立)
▷ 偏(치우칠 편) 官(벼슬 관)
편관은“치우칠 偏”자에“벼슬 官”자로 성립되었으며, 치우친 벼슬이라는 뜻인데, 음양이 日干과 같은 것이다. 나를 다스리는 편관은 무차별하게 剋을 하는 습성이 있어 윗사람의 조언(助言)과 같은 역할을 한다. 무관, 법관, 직장, 윗사람, 나를 규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2. 편관(偏官)의 육친(六親)
1) 편관은 나(日主)를 극하는 칠살(七殺)로서, 음이 음을 만나고 양이 양을 만나는 것으로서 음양배합(陰陽配合)을 이루지 못하고 日主를 정면으로 극하게 된다. 故로 편관이라고 하며 一名 七殺이라고도 한다.
2) 偏官은 자식, 조카 매부와 매형(妹兄), 매제(妹弟)에 해당하고, 여명은 정혼(正婚)이외의 남편, 남편의 형제, 시누이가 되기도 한다.
3 편관(偏官)의 속성(屬性)
1) 총명(聰明)하고 과단성(果斷性)이 있으며, 외모는 귀티가 나고 수려(秀麗)하며 스케일이 크다. 오늘날 대부(大富), 대귀(大貴)하는 사람 중에는 偏官을 가진 四柱가 많다.
2) 偏官은 원광석처럼 야성적(野性的) 상태로 양면성(兩面性)이 있고, 영리하고 민첩하나 성질이 조급하고 편굴한 편이며, 전투를 좋아하고 권모술수(權謀術數)가 능하고, 허풍이 세고, 독재적인 기질이 있고, 목적달성을 위해서는 남을 잘 이용한다.
3) 그 속성(屬性)은 권병(權柄), 완강(頑剛), 성급(性急), 투쟁(鬪爭), 고독(孤獨), 협기(俠氣)가 있어 중인(衆人)의 두목(頭目), 군인(軍人), 협객(俠客)이 될 가능성이 많으며 직업군인 및 경찰(警察)의 상이다.
정 인(正 印)
1. 정인(正印)의 성립(成立)
▷ 正(바를 정) 印(도장인)
정인은“바를 正”자에“도장 印”자로 바른 문서, 정직한 문서라는 의미가 있는데, 정도(正道) 있게 生해 준다는 뜻이 된다. 正印은 안정적인 구도를 추구하는 모습이 강하며, 자비로움이 편인보다는 많다.
2. 정인(正印의 육친(六親)
1) 정인은 생아자(生我者)로써 나를 낳은 어머니가 된다. 또한 나를 먹여 살리는 생존(生存)의 근원(根源)이 되므로 목숨과 직결된 물, 공기, 음식물(飮食物) 등에도 해당된다.
2) 正印은 男女 共히 정모(正母), 숙모(叔母), 이모(姨母), 서모(庶母), 유모(乳母), 조부(祖父), 등을 의미한다.
3. 정인(正印)의 속성(屬性)
1) 正印은 지능(知能)과 지혜(知慧)가 있으므로 타인의 신망(信望)을 얻고 인의(仁義)를 알고 군자지풍(君子之豊)이 있으며, 또한 가정이 번영(繁榮)하고 자산(資産)이 풍부한 길상(吉祥)을 나타낸다.
2) 正印은 선량(善良)하고 인자(仁慈)하며 사려(思慮)가 깊고 총명(聰明), 다지(多智)하며, 또한 긍정적이고, 논리적이며 이론(理論)에 밝고, 명예(名譽)를 대단히 소중(所重)하게 여긴다.
3) 그 속성은 명예(名譽), 문서화된 재물, 학문(學問), 계약(契約), 총명(聰明), 지혜(智慧), 온후단정(溫厚端正), 자비심(慈悲心), 산업진흥(産業進興), 복수쌍전(福壽雙全), 무병재(無病災)등의 길상을 나타낸다.
편 인(偏 印)
1. 편인(偏印)의 성립(成立)
▷ 偏(치우칠 편) 印(도장 인)
편인은“치우칠 偏” 자와 “도장 印” 자로 구성되어 도장(圖章), 벼슬, 관직(官職) 찍히다, 박히다의 뜻이 된다. 편인은 어머니가 자식을 길러주는 十星인데, 그러한 뜻이 과하다는 의미로 쓰여진다.
2. 편인(偏印)의 육친(六親)
1) 정인과 같이 나를 생해 주는 五行으로 음양이 같은 것이다. 나를 生해 준다는 것은 나를 낳은 어머니의 의미도 되지만 나를 먹여 살리는 생존(生存)의 근원인 물, 공기, 음식물(飮食物)등에도 해당된다.
2) 男女 共히 계모(繼母), 서모(庶母), 유모(乳母), 이모(姨母) 조부(祖父), 숙모, 등을 의미한다.
3. 편인(偏印)의 속성(屬性)
1) 편인의 기질은 처음에는 부지런하나 곧 권태(倦怠)를 잘 느껴 끝에 가서는 태만(怠慢)해져 매사를 용두사미격(龍頭蛇尾格)으로 끝내기 쉬우며, 비록 도량(度量)이 넓은 점은 있으나 변덕(變德)이 많은 단점(短點)이 있고, 수복(壽福)을 깨뜨리고 식신(食神)을 극상(剋傷)한다.
2) 그러나 편업(偏業)에는 적합한 一面이 있어 학자(學者), 역술, 침술, 예술가(藝術家), 의사(醫師), 약사, 종교인, 승려(僧侶), 배우(俳優)등의 명성을 떨치는 사람들의 四柱에는 편인이 많다.
3) 그 속성(屬性)은 명예(名譽), 학문(學問), 계약(契約), 문서화된 재물(財物), 파재(破財), 실권(失權), 병재(病災), 이별(離別), 고독(孤獨), 색난(色難)등을 의미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