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1 강 육신론(六神論)
관리자 2025-02-21
제 11 강  육신론(六神論)
 
육신(六神)의 설정(設定)
 
1. 육신(六神)이란?
 
1) 사주팔자 중에 주인이 되는 日干을 명주(命主), 나, 또는 아신(我身)이라고도 한다. 명리학은 팔자 상호(相互)간에 음양과 오행이 생(生), 극(剋), 제(制), 화(化), 형(刑), 충(沖), 회(會), 합(合) 하는 관계와 그 구조를 가지고 한 개인의 길흉화복(吉凶禍福)과 빈부귀천(貧富貴賤) 및 주변 환경을 판단하는 학문(學文)이다.
2) 그래서 日干이 나머지 7자와 맺는 관계는 지극히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그 7자와 각각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用語)를 만들어낼 필요가 있는 것인데, 그래서 만들어진 용어(用語)가 바로 육신(六神)이라고 한다.
 
3) 육신(六神)은 아신(我身), 비겁성(比劫星), 식상성(食傷星), 재성(財星), 관성(官星), 인성(印星)을 합쳐 육신(六神)이며, 일명 십신이라고도 한다.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는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모든 것이다. 각각의 天干과 地支는 각기 다른 陰陽과 五行을 지니고 있다.
 
▷ 甲乙은 오행으로는 공히 木, 음양으로 甲은 양, 乙은 음이다.
▷ 丙丁은 오행으로는 공히 火, 음양으로 丙은 양, 丁은 음이다.
▷ 戊己는 오행으로는 공히 土, 음양으로 戊는 양, 己는 음이다.
▷ 庚辛은 오행으로는 공히 金, 음양으로 庚은 양, 辛은 음이다.
▷ 壬癸는 오행으로는 공히 水, 음양으로 壬은 양, 癸는 음이다.
 
4) 이렇게 다른 속성(屬性)을 지닌 天干과 地支가 日干에게 어떤 관계가 이루어지는지, 즉 음양(陰陽)과 五行이 日干과 다른지 같은지를 빨리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안된 용어가 바로 六神인 것이다.
 
2. 六神(十神)의 종류 및 세부설명
 
1) 비견(比肩). 겁재(劫財)
 
⑴ 비견, 겁재는 일간과 같은 오행으로 비화자(比和者)라 한다.
⑵ 비견은 일간과 음양이 같은 것이고, 겁재는 음양이 다른 것이다.
⑶ 이것을 묶어서 비겁성 또는 비겁(比劫)이라 한다.
 
2) 식신(食神). 상관(傷官)
 
⑴ 식신과 상관은 일간이 生하는 아생자(我生者)이다.
⑵ 식신은 아생자로써 음양이 같은 것이고, 상관은 음양이 다른 것.
⑶ 이것을 묶어서 식상성 또는 식상(食傷)이라 한다.
 
3) 편재(偏財), 정재(正財)
 
⑴ 편재와 정재는 일간이 극하는 아극자(我剋者)이다.
⑵ 편재는 아극자이면서 음양이 같은 것이고,정재는 음양이 다른 것.
⑶ 이것을 묶어서 재성(財星)이라 한다.
 
4) 편관(偏官), 정관(正官)
 
⑴ 편관과 정관은 일간을 극해 오는 극아자(剋我者)이다.
⑵ 편관은 극아자이면서 음양이 같은 것이고,정관은 음양이 다른 것.
⑶ 이것을 묶어 官星이라하고, 편관은 칠살(七殺)이라고도 한다.
 
5) 편인(偏印), 정인(正印)
 
⑴ 편인과 정인은 일간을 생해주는 생아자(生我者)이다.
⑵ 편인은 생아자이면서 음양이 같은 것이고, 정인은 다른 것이다.
⑶ 이것을 묶어서 인성(印星)이라 하는데, 정인을 인수(印綬)라고도 하며, 편인(偏印)을 일명 도식(盜食)이라고도 한다.
      
3. 육신(六神)의 예시(例示) : 甲木이 日干인 경우
 
1) 甲木 日干이 타주 天干에 다른 甲木이 있다면 음양오행이 일간과 같으므로 비견(比肩)이 되고,
 
2) 乙木이 천간에 있다면 陰陽은 다르고 五行이 같으므로 겁재(劫財)가 된다. 즉 乙木은 甲木 일간에게 겁재(劫財)가 된다.
 
3) 丙火은 음양이 같고 日干이 生하는 것이므로 식신(食神)이 되고,
4) 丁火은 음양이 다르고 일간이 生하는 것이므로 상관(傷官)이 된다.
5) 戊土는 음양이 같고 일간이 剋하는 것이므로 편재(偏財)가 되고,
6) 己土는 음양이 다르고 일간이 剋하는 것이므로 정재(正財)가 된다.
7) 庚金은 음양이 같고 일간을 剋하는 것이므로 편관(偏官)이 되고,
8) 辛金은 음양이 다르고 일간을 剋하는 것이므로 正官이 된다.
9) 壬水는 음양이 같고 일간을 生하므로 편인(偏印)이 되고,
10)癸水는 음양이 다르고 일간을 生하므로 정인(正印)이 된다.
 
- 이상은 日干 甲木이 다른 天干을 보았을 때 六神 정하는 예를 들어 본 것이다. 여타 다른 日干도 동일하다.
 
- 地支 역시 음양오행에 따라 같은 원리로 六神을 정하면 된다. 그런데 地支에는 지장간(地藏干)이 있는데, 이것은 각각의 지장간 天干의 형태이므로 천간에 六神을 붙이는 원리에 따라 각각의 지장간에 六神을 배정(排定) 하면 된다.
 
▶ 실례 : 日干 甲木에 地支가 申이라면 申中에(戊壬庚)이 있다.
 
日  干 - 甲
地 支 - 申 - 편관(偏官)
지장간 - 戊 → 편재(偏財) = 여기(餘氣)
지장간 - 壬 → 편인(偏印) = 중기(中氣)
지장간 - 庚 → 편관(偏官) = 정기(正氣)
 
※ 참고  
1) 財, 官, 印에 있어서 日干과 음양이 같은 것에는 편(偏)자를 붙이고, 日干과 음양이 다른 것에는 정(正)자를 붙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財, 官, 印 세 가지는 日干과 음양이 다른 것이 더 좋기 때문에 좋은 것에는 正자를 붙이고, 나쁜 것에는 편(偏)자를 붙인 것이다.
 
2) 이와 반대로 정, 편자가 붙지 않은 식신(食神), 상관(傷官), 비견(比肩), 겁재(劫財)는 일간과 陰陽이 같은 것이 더 좋은 작용을 하므로 옛 사람들이 혼동(混同)을 피하기 위해서 아예 각각 다른 용어를 사용했던 것으로 본다.
 
3) 옛 사람들은 六神 가운데 정관(正官)을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했고. 그래서 정관을 가장 심하게 剋하는 상관(傷官)을 식신(食神)보다 나쁘다고 보고 六神의 명칭 자체를 官을 상하게 한다는 뜻에서 상관(傷官)이라고 했던 것이다.
 
4) 또 六神 가운데서 편관(偏官)을 가장 나쁘다고 보았다. 그래서 칠살(七殺)이라는 살벌(殺伐)한 별명을 붙인 것이다. 식신(食神)은 七殺을 여지없이 극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食神을 좋게 평가했다.
 
5) 그런데 편인(偏印)은 식신(食神)을 여지없이 극하므로 나쁘다고 보아 식신을 쓰러뜨린다는 뜻인 도식(倒食)이라는 별명을 편인에게 붙인 것이다. 상관은 정관을 여지없이 극하는 나쁜 것인데 정인(正印)은 그 상관(傷官)을 여지없이 극하는 좋은 작용을 한다고 보고 인수(印綬)라는 아름다운 별명을 지어 주었다.
 
6) 정재(正財)는 정관(正官)을 가장 잘 生해 주는 좋은 역할을 하는데, 겁재(劫財)는 정재(正財)를 여지없이 파괴한다. 그래서 재물(財物)을 겁탈한다는 뜻으로 겁재(劫財)라는 흉칙한 이름을 붙인 것이다. 比肩은 일간과 음양오행이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환난(患難)을 같이 한다고 해서 어깨를 마주 대고 있다는 뜻으로 비견(比肩)이라고 했던 것이다.
 
4. 天干과 地支의 육신(六神) 도표(圖表)
 
1) 천간육신(天干六神)
六神/日干
비견(比肩)
겁재(劫財)
식신(食神)
상관(傷官)
편재(偏財)
정재(正財)
편관(偏官)
정관(正官)
편인(偏印)
정인(正印)
 
2) 지지육신(地支六神)
六神/日干
비견(比肩)
辰戌
丑未
겁재(劫財)
丑未
辰戌
식신(食神)
辰戌
丑未
상관(傷官)
丑未
辰戌
편재(偏財)
辰戌
丑未
정재(正財)
丑未
辰戌
편관(偏官)
辰戌
丑未
정관(正官)
丑未
辰戌
편인(偏印)
辰戌
丑未
정인(正印)
丑未
辰戌
※ 地支는 일단 정기신(正氣神)으로 육신(六神)을 정한다.
육신(六神)끼리의 생극(生剋)관계
 
육신(六神)의 명칭은 사주학의 고유(固有)한 용어(用語)이다. 육신(六神)은 사주학의 근간(根幹)을 이루는 격국(格局)의 초석(礎石)이 되고, 부모(父母), 형제(兄弟), 처자(妻子)의 육친(六親) 사항을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 육신(六神)마다 지니고 있는 고유한 특성(特性)과 속성(屬性)의 작용을 알지 못하면 사주를 풀 수 없는 것도 그 때문이다. 다음은 육신끼리 생극(生剋)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 음양이 같은 것끼리 상생(相生)하는 과정
 
1) 비견(比肩) → 식신(食神) → 편재(偏財) → 편관(偏官) →
편인(偏印) → 비견(比肩) (화살표 방향으로 生한다)
 
2) 겁재(劫財) → 상관(傷官) → 정재(正財) → 정관(正官) →
정인(正印) → 겁재(劫財) (화살표 방향으로 生한다)
 
2. 음양이 다른 것끼리 상생(相生)하는 과정
 
1) 비견(比肩) → 상관(傷官) → 편재(偏財) → 정관(正官) →
편인(偏印) → 겁재(劫財) → 식신(食神) → 정재(正財) →
편관(偏官) → 정인(正印) → 비견(比肩) → 상관(傷官)
 
3. 음양이 같은 것끼리 상극(相剋)하는 과정
 
1) 비견(比肩) → 편재(偏財) → 편인(偏印) → 식신(食神) →
편관(偏官) → 비견(比肩) → 편재(偏財) → 편인(偏印) →
(화살표 방향으로 剋한다)
 
2) 겁재(劫財) → 정재(正財) → 정인(正印) → 상관(傷官) →
정관(正官) → 겁재(劫財) → 정재(正財) → 정인(正印) →
(화살표 방향으로 剋한다)
 
4. 음양이 다른 것끼리 상극(相剋)하는 과정
 
1) 비견(比肩) → 정재(正財) → 편인(偏印) → 상관(傷官) →
편관(偏官) → 겁재(劫財) → 편재(偏財) → 정인(正印) →
식신(食神) → 정관(正官) → 비견(比肩) → 정재(正財) →
(화살표 방향으로 剋한다)
 
5. 육신(六神)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종합
 
1) 육신(六神)의 상생(相生)
(비견, 겁재) → (식신, 상관) → (정재, 편재) → (정관, 편관) →
(정인, 편인) → (비견, 겁재) = (화살표 방향으로 生하게되고)
 
2) 육신(六神)의 상극(相剋)
(비견, 겁재) → (정재, 편재) → (정인, 편인) → (식신, 상관) →
(정관, 편관) → (비견, 겁재) = (화살표 방향으로 剋하게 된다)
  
6. 六神(十神)의 육친(六親)관계 도표(圖表)
六 親
(十神)
육 친 구 분(六 親 區 分)
男 命
女 命
비 견
(比肩)
형제(兄弟). 친우(親友)
동창(同窓). 동료(同僚)
동기(同期). 동기(同氣)
처의 애인 . 자부(子婦)
자매(姉妹). 친우(親友)
동창(同窓). 동료(同僚)
동기(同期). 동기(同氣)
남편의 첩. 시부(媤父), 동서
겁 재
(劫財)
자매(姉妹). 동서(同壻)
이복형제(異腹兄弟).
처의 애인, 자부(子婦)
남형제(男兄弟). 동서(同壻)
남편의 첩
시부(媤父)
식 신
(食神)
장모(丈母). 질(姪)=(조카)
손자(孫子). 사위
子女(자=양식신. 녀=음식신)
조모(祖母)
상 관
(傷官)
외조부(外祖父). 조모(祖母)
손자(孫子) 첩의 모.
子女(자=양식신. 녀=음식신)
조모(祖母)
정 재
(正財)
정처(正妻). 처의형제, 형수
제수, 숙부(叔父)고모(姑母)
부(父)의 형제, 고모(姑母)
편시모, 외손자, 자부의 모친
편 재
(偏財)
부친(父親). 숙부(叔父)
첩(妾). 처, 첩의 형제
형수(兄嫂), 제수(弟嫂)
부친(父親). 백부(伯父
정시모(正媤母) 자매의 시모,
외손자, 자부의 모친
정 관
(正官)
子女(자=양관. 녀=음관)
조카, 매부, 매형, 매제
남편(男便) = 정부(正夫)
남편의 형제, 시누이.
편 관
(偏官)
子女(자=양관. 녀=음관)
자식, 조카, 매부, 매형, 매제
애인(愛人),남편의 형제,
시누이의 남편, 자부(子婦)
정 인
(正印)
正母, 숙모(叔母), 이모(姨母)
장인(丈人), 증손자(曾孫子)
외손자(外孫子), 아들의 장모
정모(正母), 숙모(叔母),
이모(姨母)
손자(孫子), 사위
편 인
(偏印)
계모(繼母).서모(庶母). 이모
조부(祖父).숙모(叔母)
첩의 아버지, 증손자, 외손자
계모(繼母). 서모(庶母).이모
조부(祖父). 숙모(叔母)
사위, 손자
 
돌아가기 Back
상호: 거봉작명원 직통 010-2752-7414 사무실: 051-751-7414 / 051-753-9762 카톡: cjh7414
주소: 부산시 수영구 수영로 607-1(광안4동) 한서병원옆(광안시장입구) 이메일: saju-park@hanmail.net
COPYRIGHT (C) 거봉작명원.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