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 강 대운법(大運法) 및 지장간(地藏干)
▶ 대운법(大運法)
1. 대운(大運)의 의미(意味)
1) 대운(大運)은 인생의 출생부터 종말(終末)에 이르기까지의 길흉(吉凶)관계를 보는 운을 말한다. 대운(大運)은 一名 운로(運路), 또는 행운(行運)이라 하며, 대운을 간명(看命)할 때는 사주중의 일간을 중심으로 하여 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를 보게 된다.
2) 사주팔자를 “자동차”에 비유한다면 행운은 “도로”에 비유(比喩)하여 운로(運路)가 좋은 것은 자동차가 포장된 좋은 도로를 달리는 것과 같고 운로가 나쁠 때는 비포장도로나 자갈길을 달리는 것과 같은 형상)이라고 가상하여 추리하면 이해가 쉽게 갈 수 있을 것이다.
2. 대운(大運) 정하는 법
1) 대운(大運)은 사주의 년주를 본 다음 월주를 기준하여 설정한다.
2) 양남음녀인 경우 월주의 干支 다음 干支로부터 순행하여 설정하고 음남양녀인 경우엔 월주의 干支 앞 干支로부터 역행하여 설정한다.
3) 양남음녀란 년주가 남자이면 干支가 陽이 되고, 여자인 경우엔 간지가 陰이 되는 것을 말한다. 음남양녀는 남자인 경우엔 년주가 음이 되고 여자인 경우엔 陽인 경우를 말한다. 이것은 남자는 양, 여자는 음의 음양이치화(陰陽理致化)한 것이다.
<例示1>
男子 : 순행(順行)대운 女子 : 순행(順行)대운
辛 乙 丙 戊 丁 庚 庚 辛
巳 卯 辰 辰 亥 戌 寅 未
癸 壬 辛 庚 己 戊 丁 丁 丙 乙 甲 癸 壬 辛
亥 戌 酉 申 未 午 巳 酉 申 未 午 巳 辰 卯
<例示2>
男子 : 역행(逆行)대운 女子 : 역행(逆行)대운
丁 庚 庚 辛 辛 乙 丙 戊
亥 戌 寅 未 巳 卯 辰 辰
癸 甲 乙 丙 丁 戊 己 己 庚 辛 壬 癸 甲 乙
未 申 酉 戌 亥 子 丑 酉 戌 亥 子 丑 寅 卯
3. 대운(大運) 수(數) 정(定)하는 법
1) 대운(大運) 수(數)란 대운(大運)을 설정(設定)한 다음 대운의 한 주는 십년간의 운명(運命)을 관장(管掌)하는데 몇 세부터 몇 세까지에 해당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을 말한다.
2) 대운(大運) 수(數)를 정하는 法은 양남음녀(陽男陰女)는 출생(出生)한 날로부터 순행(順行)하여 다음 다가올 절입(節入)일까지의 날짜 수를 계산하여 3을 나눈 수(數)가 대운의 수가 되고, 음남양녀(陰男陽女)는 출생일로부터 역행하여 지나간 前절입일까지 일수(日數)를 계산하여 3으로 나눈 수가 대운(大運)의 수가 된다. 남자는 건명(乾命), 여자는 곤명(坤命)이라고 부른다. <만세력 참조>
4. 대운(大運)의 천간(天干) 지지(地支)의 작용력
1) 대운은 순운(順運)과 역운(逆運)이 10년마다 변하는데 10년 중 天干을 5년 地支를 5년, 合하여 10년을 보고 대운이 天干에 해당할 때는 干支100%중 天干을 70%, 地支를 30%로 보며, 또 地支에 대운이 해당할 때는 반대로 地支를 70%, 天干을 30%로 계산하여 감정한다.
2) 天干地支 작용력의 비율은 같지만 감정할 때는 地支의 작용력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참고하여야 하며, 때문에 寅卯辰, 巳午未로 흘러가면 동남木火運, 申酉戌, 亥子丑으로 가면 서북金水運이라 부르는 것이다.
3) 운의 좋고 나쁨은 사주 전체를 파악한 다음 사주가 요구하는 오행의 운으로 행하면 발전(發展), 발복(發福)할 수 있으나 그 반대이면 모든 것이 퇴보(退步)하고 발전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 십이지장간(十二地藏干)
1. 지장간(地藏干)의 이해(理解)
1) “십이지장간”이란 말은 十二支안에 天干이 숨어 있음을 뜻하는데, 천간은 보이는 그대로 열 개의 오행뿐이지만 地支는 열두 개의 地支안에 2개 내지 3개의 다른 오행의 天干이 들어 있어 즉 지지(地支)안에 감추고 있는 천간(天干)이라는 말이다.
2) 그 원리는 역시 기상학적(氣象學的) 해석을 통해서 풀어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正月인 寅月이라면 전년도 12월 丑土의 여기(餘氣)가 넘어 오므로 寅月 초기(初期)에는 일정기간 土의 기운이 강하고, 그 다음 중기(中氣)는 寅은 寅午戌 火국도 하므로 火의 기운이 득세하며, 그 다음은 寅月의 정기(正氣)인 甲木이 관장(管掌)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3) 지장간(地藏干)은 월건(月建)내에서는 물론 중요하지만 年,日,時 중에 암장(暗藏)되어 있는 지장간이 작용(作用)되기도 하는데 天干에 투출(透出)한 지장간의 작용이 용이(容易)하며 제일 강(强)하다고 보므로 이 점은 必히 명심(銘心)하여야 한다.
2. 지장간(地藏干)의 일수(日數)와 배정표(配定表)
\
여기(餘氣)
일수(日數)
壬
10
癸
9
戊
7
甲
10
乙
9
戊
7
丙
10
丁
9
戊
7
庚
10
辛
9
戊
7
중기(中氣)
일수(日數)
*
*
辛
3
丙
7
*
*
癸
3
庚
7
己
9
乙
3
壬
7
*
*
丁
3
甲
7
정기(正氣)
일수(日數)
癸
20
己
18
甲
16
乙
20
戊
18
丙
16
丁
11
己
18
庚
16
辛
20
戊
18
壬
16
※ 지장간은 生月의 절입을 기준하여 出生일로서 사령신(司令神)을 정한다.
1) 상기 도표와 같이 지장간(地藏干)에는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로 구성(構成)되어 있으며 “여기”는 전월의 기운(氣運)이 남아 이월(移越)된 것을 말하며, “중기”는 “여기”에서 “중기”로 이르는 중간의 기운(氣運)이며 “정기”는 본월(本月)의 왕성한 기운(氣運)이며 一名 사령신(司令神)이라 부른다.
2) 일반적으로 정기신(正氣神)을 사령신(司令神)이라 하는데 사주에 직접, 해당하는 사람의 生日이 여기, 중기, 정기,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말하는 것이다. 즉, 그 사람의 生日이 “여기”에 해당하면 여기(餘氣)가 사령신, 중기(中氣)에 해당하면 중기가 사령신이 되는 것이다.
3) 지장간(地藏干)에 표시한 일수는 1개월을 30일로 가정하여 배정한 일수인데,,
* 寅申巳亥 四生지는 여기 07日, 중기 07日, 정기 16일을,
* 子午卯酉 四旺지는 여기 10日, 정기 20일을,
* 辰戌丑未 四庫지는 여기 09日, 중기 03日, 정기 18일로 배정했고,
* 子午卯酉중 午화는 여기 10日, 중기 09日, 정기 11日을 배정했다.
4) 生日이 여, 중, 정기 어느 기운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는 법은 절입 일을 기준하여 일일이 헤아리지 않고 “대운수”만 알면 쉽게 아는 方法이 있다. 즉, 양남음녀(陽男陰女)는 대운 수에 3을 곱한 수를 30에서 빼 주면 그 수가 사령신이 되고, 음남양녀(陰男陽女)는 대운 수에 3을 곱한 수의 그 자체가 사령신(司令神)이 된다. 이는 대운의 수는 원래 3을 나눈 수가 되므로 3을 곱하게 되는 것이다.
5) 그러나 必히 알아두어야 할 것은 앞서 말씀드린 대로 生月의 심천(深淺)에 의하여 사령신(司令神)을 定하기도 하나 이것은 地支의 장간(藏干)이 天干에 투출(透出)되지 않았을 경우이고, 여기, 중기, 정기든 天干에 투출한 五行이 있을 때에는 투출된 五行이 제일 강하다는 것을 꼭 명심(銘心)하여야 한다.
3. 지장간(地藏干)의 예시(例示)
<例示1> 乾命, (음) 1930年 1月 14日 丑時生 (양남음녀)
癸 癸 戊 庚
丑 巳 寅 午
↓ ↓ ↓ ↓
(癸) 戊 戊 (丙)→ 여기(餘氣)
辛 (庚) (丙) 己 → 중기(中氣)
己 丙 甲 丁 → 정기(正氣)
77 67 57 47 37 27 17 07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戌 酉 申 未 午 巳 辰 卯
1) 이 사주는 절입 후 8일 만에 出生하였으므로 月支는 중기, 年支는 여기, 日支는 중기, 時支는 여기로 사령신이 각각 다르다.(지장간 배정표 참조)
2) 대운 수로서 지장간을 알아내는 法은 7대운이니까, (7×3=21)
(30-21= 9일)이 된다. 3을 나누고 1이 남으면 버리고 2가 남으면 올리라고 했으므로 8일 9일 10일 남으면 대운의 수는 같다. 그러나 1일 차이로 지장간이 달라질 수도 있음을 참고하면 된다.(극소수다.)
<例示2> 坤命, (음) 1956年 5月 17日 酉時生 (음남양녀)
辛 癸 甲 丙
酉 亥 午 申
↓ ↓ ↓ ↓
庚 戊 丙 戊 → 여기(餘氣)
0 甲 己 壬 → 중기(中氣)
(辛) (壬) (丁)(庚) → 정기(正氣)
76 66 56 46 36 26 16 06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1) 이 四柱는 여자의 命으로 음남양녀(陰男陽女)에 속한다. 고로 지장간이 모두“정기신”이 된다. 절입 이후 15일이지나 출생한 사람은 모두가 정기신(正氣神)에 해당되게 되어 있다.
2) 음남양녀의 대운 수로서“지장간”을 정하는 法은 대운 수가 6대운이니까 (6×3=18일)이 되고, 그대로 정기신(正氣神)이 되며 사령신(司令神)이 되는 것이다.
<例示3> 乾命, (음) 1986年 7月 12日 亥時生(양남음녀)
癸 癸 丙 丙
亥 巳 申 寅
↓ ↓ ↓ ↓
戊 戊 戊 戊 → 여기(餘氣)
(甲) (庚) (壬) (丙) → 중기(中氣)
壬 丙 庚 甲 → 정기(正氣)
77 67 57 47 37 27 17 07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1) 이 四柱는 남자의 命으로 양남음녀(陽男陰女)에 속한다. 고로 지장간이 모두 “중기신”이 된다. 절입 이후 9일이 지나 출생한 사람이므로 중기신(中氣神)에 해당되게 되어 있다.
2) 양남음녀의 대운 수로서 “지장간” 을 정하는 法은 대운 수가 7대운이니까 (7×3=21일)이 되고, 한 달 30일에서 21을 빼면 9가 남으므로 중기신(中氣神)이 되며 또한 사령신(司令神)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