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 강 사주정법(四柱定法)
관리자 2025-02-21
제 7 강 사주정법(四柱定法)
 
    
▶ 사주(四柱)의 해설(解說)
 
 
1. 사주(四柱)의 기본용어(基本用語)
 
1) 사주란 생년, 생월, 생일, 생시의 4기둥을 뜻하는데 출생한 년을 년주, 월을 월주, 일을 일주, 시를 시주라 한다.
 
2) 팔자란 四柱의 生年, 月, 日, 時에 4천간과 4지지의 합한 팔자를 말한다. 사람이 태어난 生年, 月, 日, 時의 干支를 근거로 하여 길흉복록(吉凶福祿)과 이에 나타난 운수를 추리하여 예지(銳智)하는 것이다.
 
3) 사주는 간지로 구성되는데 년주의 천간을 年干, 年上, 지지를 년지라 하고 혹은 년주는 本人이 태어난 해이므로 태세(太歲)라고도 한다.
 
4) 월주의 天干을 月干, 月上이라고 하며, 월의 지지를 월지(月支), 월령(月令), 월제(月提)라고도 한다.
 
5) 日柱의 天干을 日干, 일주(日主), 일원(日元), 기신(己身)이라고도 한다. 지지(地支)를 일지(日支), 좌하(坐下)라고도 한다.
 
6) 시주의 天干을 시간이라 지지를 시지라 부른다. 
 
 
 
 
 
2. 각 주별(柱別) 의미(意味)와 해설(解說)
 
1) 年 柱
年柱는 四柱의 근본이 되어 인간이 출생한 근원(根源)이 된다. 식물에 비유한다면 식물의 뿌리가 있어야 하듯이 뿌리는 조상(祖上)을 의미한 것으로 선대(先代)와 조부모의 궁(宮)이 되며, 초년 20세 이전과 과거의 운명을 본다. 年干은 조부로 보고 年支는 조모를 보기도 한다.
 
2) 月 柱
月柱는 식물의 줄기와 잎이 되듯이 인간에게도 부모와 형제궁(兄弟宮)에 비유된다. 20세 이후 40세까지의 청년기(靑年期)에 해당하며 初, 中年의 운명을 본다. 月柱의 명칭을 一名 제강(提綱)이라고 하며 月干은 부(父)와 형제(兄弟), 월지(月支)는 母와 자매가 되기도 한다.
 
3) 日 柱
日柱는 식물이 줄기와 잎이 생겨 꽃이 피는데 꽃은 自己, 또는 부부궁(夫婦宮)이 되며, 40세 이후부터 60세 까지가 장년기와 현재에 해당한다. 日干을 나를 보고 日支는 남녀 공히 자기의 배우자궁으로 본다.
 
4) 時 柱
時柱는 식물의 결실(結實)이 되는데 자손궁(子孫宮)이 되며 60세이후 말년(末年)과 미래(未來)의 운명을 본다. 時干은 아들과 손자(孫子)가 되며 時支는 딸과 손녀(孫女)가 되기도 한다.
 
 5) 사주 배속(配屬) 조견표(早見表)
시주(時柱)
일주(日柱)
월주(月柱)
년주(年柱)
실(實)
화(花)
묘(苗)
근(根)
60세이후
60世까지
40世까지
20世까지
자녀(子女)
자기(自己)
부모(父母)
선대(先代)
자손(子孫)
부.처(夫.妻)
형제(兄弟)
조부모(祖父母)
미 래
현 실
현재․과거
과 거
부 하
자 신
국, 과장
기관장
제 2 세
가 정
사 회
조 국
 
사주(四柱)를 세우는 법
 
 
1. 년주(年柱) 세우는 법
 
1) 사주란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이며, 네 개의 기둥 중 년주(年柱)는 출생한 해의 간지를 년주(年柱), 또는 태세(太歲)라고 한다. 따라서 년주(年柱)를 세우는 법은 간단하다. 가령 2014년에 출생하였다면 당년은 甲午년이 되므로 甲午가 年柱가 된다.
 
2) 그러나 여기서 주의할 점은 年의 구분(경계)을 정월 초하루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입춘(立春)을 기준으로 정한다는 것이다. 즉 당년도에 출생했더라도 입춘 전에 출생했다면 전년도의 年柱를 쓰고, 입춘 후에 출생하였다면 전년도에 출생하였어도 당년의 年柱를 쓴다. 즉 입춘이 년이 바뀌는 경계가 되는 것이다. 입춘이 드는 시간과 분까지도 따져서 구분하여 한다.<만세력 참고, 대개 양력 2월 4일이 입춘절임.>
 
2. 월주(月柱) 세우는 법
 
1) 月柱는 출생한 달의 干支를 말하며 월건(月建)이라고도 한다. 月柱는 계절을 표시하므로 음양오행의 기(氣)를 좌우하는 중요한 곳이다. 月支는 매년 같은 月支를 사용하나 月干에 오는 十干의 글자는 매년 달라지게 되어있다. 따라서 月干을 붙이는 방법을 알면 月柱를 세우는 법을 쉽게 알 수 있다. 즉 1월은 寅月, 2월은 卯月, 3월은 辰月, 4월은 巳月, 5월은 午月, 6월은 未月, 7월은 申月, 8월은 酉月, 9월은 戌月, 10월은 亥月, 11월은 子月, 12월은 丑月이다.
 
2) 다음 항의 조견표를 참고하고, 주의할 점은 1년이 입춘일을 기준하여 시작하는 것과 같이 月도 해당하는 절입일을 지나야 한다. 가령 卯月생이 되려면 卯月의 절입일인 경칩(驚蟄)절이 지나야 비로소 2월인 묘월생이 되고, 경칩일 전이면 전월인 寅月이 되는 것이다. 또한 청명(淸明)이 지나면 3월이 되는 것이다. 
 
 3) 월건(月建) 조견표(早見表)
 
 
 
 
 
 
 
 
 
 
 
 
年干.節入
입춘
立春
경칩
驚蟄
청명
淸明
입하
立夏
망종
芒種
소서
小暑
입추
立秋
백로
白露
한로
寒露
입동
立冬
대설
大雪
소한
小寒
甲.己 年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丙子
丁丑
乙.庚 年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丙.辛 年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丁.壬 年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戊.癸 年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子
乙丑
 
3. 일주(日柱) 세우는 법
 
1) 일주(日柱)는 태어난 날의 干支를 가리킨다. 일주(日主)는 사주의 주인으로 그 중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일주(日柱)를 세울 때는 절기(節氣)에 관계없이 그 날의 일진(日辰)을 그대로 쓰면 된다.
 
2) 다만 年月과 마찬가지로 日도 하루를 시작하는 시간이 있고, 그 기준시가 子時(전날밤 11시30분-새벽 01시30분)가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밤 11시 30분 이후 출생하였다면 다음날의 일진을 쓰면 된다.
 
4. 시주(時柱) 세우는 법
 
1) 시주는 출생한 시간이므로 그 時干을 정하게 되는데 시의 干支는 월주의 干支와 같이 시지는 불변(不變)으로서 항상 일정하고 時干은 日干에 의하여 결정되며 시간 산출(算出)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의 2時間씩을 十二支의 1시간으로 계산하면 된다.
 
*  子時는 23시 30분-01시 30분 * 丑時는 01시 30분-03시 30분
*  寅時는 03시 30분-05시 30분 * 卯時는 05시 30분-07시 30분
*  辰時는 07시 30분-09시 30분 * 巳時는 09시 30분-11시 30분
*  午時는 11시 30분-13시 30분 * 未時는 13시 30분-15시 30분
*  申時는 15시 30분- 7시 30분  * 酉時는 17시 30분-19시 30분
*  戌時는 19시 30분-21시 30분 * 亥時는 21시 30분-23시 30분
 
5. 오행시간(五行時間)
 
1) 오전은 子正부터 正午時까지를 가리키고 오후는 正午부터 子正時
까지를 가리킨다. 오늘날 사용하는 子正과 正午라는 말은 干支五行에서 나온 말이다. 동경(東經) 135를 표준시(標準時)로 기준한 것임.
 
2) 시간지조견표(時干支早見表)
일간\시간
甲.己日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乙.庚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甲申
乙酉
丙戌
丁亥
丙.辛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丁.壬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戊.癸日
壬子
癸丑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3) 즉 甲이나 己日生은 子時가 甲子時로 丑時는 乙丑時, 寅時는 丙寅時가 이와 같은 식으로 진행하면 亥時는 乙亥時가 된다. 이와 같이 시두법(時頭法)을 알고 있으면 아주 편리하다 하겠다. 외울 수가 없다면 항상 상기의 조견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4) 時干을 쉽게 아는 法은 일주의 天干五行과 干合하여 合化한 五行을 剋하는 오행의 陽干으로부터 子時로 시작하여 해당하는 時까지 헤아리면 된다.
 
5) 合을 해서 변화한 오행은 다음과 같으므로 참고바람.
 
* 甲己 合化한 오행은 土가 되므로 土의 양간인 戊辰시가 되고,
* 乙庚 合化한 오행은 金이 되므로 金의 양간인 庚辰시가 되고,
* 丙辛 合化한 오행은 水가 되므로 수의 양간인 壬辰시가 되고,
* 丁壬 合化한 오행은 木이 되므로 木의 양간인 甲辰시가 되고,
* 戊癸 合화한 오행은 火가 되므로 화의 양간인 丙辰시가 된다.
 
시간(時間)의 계산(計算)
 
1. 일본과 중국, 우리나라의 시간차이
 
1) 영국 그리니치(Greenwich)천문대를 중심으로 동서로 각각 15도씩 나누어서 표준시(標準時)로 정하도록 한 국제간의 협약(協約)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쓰고 있는 현재의 시간은 동경(東經) 135도 00분 기준이다. 그런고로 우리나라는 대전을 기준으로 동경 127.5도의 위치에 있으므로 진정한 우리나라에 맞는 시간은 동경(東經)과는 7.5도의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이다. 즉 30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2) 우리나라 대전을 중심하여 정오(12:00)를 기준하면 일본(동경)은 12:30분이 되고 중국(北京)은 대전보다 30분이 늦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적으로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시차(時差)를 쉽게 알려면 지도의 경도를 보고 1경도에 4分의 차가 있으니 동쪽으로 1경도 가면 4分이 빠르고 서쪽으로 1경도 가면 4分이 늦은 것으로 계산하면 된다.
 
3) <시간계산 실례(實例)>
⑴ 360도 ÷ 24시간 = 15도 <1시간=60분>
⑵ 60분 ÷ 15 도 = 4분 <1경도(經度)>
⑶ 우리나라는 대전을 中心으로 127.5도로 계산해야 됨.
 
2. 야자시(夜子時)와 명자시(明子時)
 
1) 야자시(夜子時)와 명자시(明子時)는 시주를 정할 때 밤11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를 “야자시”라 하고, 00시 30분부터 01시 30분까지를 “명자시”라 하는 이론인데. 여기에는 많은 이론(異論)이 있으나 필자는 이 法이 불가하다 생각되어 쓰지 않는다. <명리요강 참고함>
 
2) 時의 시작은 언제든지 자시부터 첫 시각으로 자시를 이등분하여 전일과 명일로 본다는 것은 시두법(時頭法)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五行의 법칙에 부당하고 이치에도 맞지 않는 것이다.
 
3. 서머타임(Summer time)
 
1) 서머타임이란 여름에는 낮이 길기 때문에 “일광시간” 절약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표준시”를 한 시간 당겨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 때문에 서머타임이 실시되는 기간 동안에 출생한 사람의 사주를 볼 때 “시주”를 정함에 있어 엄밀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표준시간 오전 11시 30분이라면 한 시간 빨라졌기 때문에 “실제시간”은 10시 30분이 되므로 午時가 아니고 巳時가 되는 것이다.
 
2) 서머타임은 우리나라에서는 미군정 때부터 실시하였고, 정부수립 후에도 1948년 5월 31일 자정부터 1948년 9월 22일 자정까지 시행하게 되었는데, 1948년 5월 31일 자정에 모든 시계를 한 시간 앞세우고(즉 子正에 오전 1시가 되게 하고) 1948년 9월 22일 子正에 모든 시계는 한 시간 뒤세우게 된다.(원 위치를 하게 됨)
 
3) 이를“표준일광절약시간”이라 하여 시작된“서머타임제도”는 매년 시행해 13년간(1948년~1960년까지)의 수명으로 끝이 났다가 1987년과 1988년에 다시 시작하게 되었는데, 만세력을 볼 때는 필히 확인하는 버릇을 가져 四柱를 잘못 정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4. 시간의 변경(變更)
 
1) 1897년 이전은 오전 10시 30분에 午時가 시작되고 11시 30분을 正午라고 했다고 한다.
 
2) 대한제국시대를 포함한 1908년(기록이 없음) 모월 모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오전 11시부터 午時가 시작되고, 오후 11시부터 子時가 시작되었으니 우리나라 표준시인 동경 127.5도를 쓰게 된다. <대한제국시대(1897년〜1909년)>
 
3) 1910년 양력 8월 30일 0시부터 1954년 양력 3월 20일까지는 오전 11시 30분부터 午時가 시작되고, 오후 11시 30분부터 子時가 시작된다. 이때는 한일합병으로 일본의 표준시를 쓰기 시작하여 해방 후까지 이어진다. (동경 135도 기준)
4) 1954년 양력 3월 21일 0시부터 1961년 양력 8월 09일 자정까지는 한국의 진정한 시간인 127.5도를 사용했으니 오전 11 시부터 午時가 시작되어 12시에 正午가 되고, 오후 11시부터 子時가 시작되어 0시에 子正이 된다. 이 기간이야말로 한국의 표준시가 되어 “사주학상”의 시간과 일치(一致)한 시기였다.
 
5) 1961년 양력 8월 10일 00시부터 동경의 표준시가 적용되므로 30분이 더 가야 바른 시간이 되는 것이다. 즉 11시 30분부터 午時가 시작되어 12시 30분이 정오(正午)가 되고, 오후 11시 30분부터 자시가 시작되어 12시 30분에 자정(子正)이 된다.
 
6) 상기 내용은 실제 이행한 날짜와 일부 다를 수도 있으므로 참고로 할 것. (1987년과 1988년도는 서머타임 적용하였음.)
 
7) 서머타임(한 시간 앞당긴다. 양력 표기) 기간
 
* 1948년 양력 5월 31일 자정부터 동년 양력 9월 22일 자정까지
* 1949년 양력 4월 03일 자정부터 동년 양력 9월 30일 자정까지
* 1950년 양력 4월 1일 자정부터 동년 양력 9월 10일 자정까지
* 1951년 양력 5월 6일 자정부터 동년 9월 9일 자정까지
* 1954년 양력 3월 21일 자정부터 5월 5일 자정까지
* 1955년 양력 4월 6일 자정부터 동년 9월 22일 자정까지
* 1956년 양력 5월 20일 자정부터 동년 9월 30일 자정까지
* 1957년 양력 5월 5일 자정부터 동년 9월 22일 자정까지
* 1958년 양력 5월 4일 자정부터 동년 9월 21일 자정까지
* 1959년 양력 5월 4일 자정부터 동년 9월 20일 자정까지
* 1960년 양력 5월 1일 자정부터 동년 9월 18일 자정까지
* 1987년 양력 5월 10일 02시부터 10월 11일 03시까지
* 1988년 양력 5월 8일 02시부터 10월 9일 03시까지
 
5. 시주(時柱) 세우는 법 실례(實例)
 
예시1) 1988年 (陰), 3月 15日 午前 10時生.
時柱 日柱 月柱 年柱
  辛   乙   丙    戊
 
  巳   卯   辰    辰
 
이 사주는 1988년은 戊辰年이므로 年柱는 戊辰이다. 生月은 3月 청명절이후에 태어났으므로 丙辰월로 月柱를 정한다. 日柱는 음력 3월 15일 일진이 乙卯일이므로 그대로 乙卯다. 그리고 時柱는 오전 10時는 巳時이므로 그냥 巳時이며 時干에 붙는 辛자는 乙일이나 庚일은 丙子時부터 시작이니 丙子부터 세어나가면 巳時는 辛巳時가 된다.
 
예시2) 1989年 (陰), 12月 15日 午前 6時生.
 
時柱 日柱 月柱 年柱
  辛    丙    丁   己
 
   卯   子    丑   巳
 
이 사주는 1989年이 己巳年이므로 年柱는 己巳이고, 月柱는 丁丑, 日柱는 태어난 날의 日辰이 丙子일이므로 그냥 丙子, 時柱는 丙일과 辛일은 戊子時부터 시작되므로 辛卯時가 되는 것이다.
 
예시 3) 연습문제
 
① 양력 2007년 01月 15日 午前 6 時生.
② 음력 2006년 12月 18日 午後 7 時 31分生.
③ 음력 2006년 12月 17日 14시 生.
④ 양력 2005년 10月 08日 오후 3時 30分生
 
돌아가기 Back
상호: 거봉작명원 직통 010-2752-7414 사무실: 051-751-7414 / 051-753-9762 카톡: cjh7414
주소: 부산시 수영구 수영로 607-1(광안4동) 한서병원옆(광안시장입구) 이메일: saju-park@hanmail.net
COPYRIGHT (C) 거봉작명원.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