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 강 천간 지지의 합(合)과 충(沖)
관리자 2025-02-21
제 6 강 천간 지지의 합(合)과 충(沖)
    
 
▶ 천간지지의 合
 
합(合)은 글자 그대로 “합한다” “화합(和合)한다” “묶는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합이 되면 본분(本分)을 수행(隨行)하지 않는다는 뜻도 되므로 사주(四柱)에 합이 많으면 좋을 수 도 있지만 오히려 좋지 않을 수도 있다.
 
1. 천간오합(天干五合)
 
1) 천간합(天干合)은 서로 극하는 관계에 있으면서도 음양이 만나 合을 이루는데, 이는 男女가 만나 合을 하는 것과 같다고 보며, 나로부터 6번째 음양이 다른 干과 合하게 된다. 天干合은 모두 5쌍을 이룬다.
 
⑴ 甲 + 己 = 合化 → 土
⑵ 乙 + 庚 = 合化 → 金
⑶ 丙 + 辛 = 合化 → 水
⑷ 丁 + 壬 = 合化 → 木
⑸ 戊 + 癸 = 合化 → 火
 
2) 위와 같이 合이 되며 시절(時節)에 따라 合이 되면 合化한 五行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는 四柱를 감명함에 아주 중요하게 작용하며, 또한 合이 됨으로써 기존의 작용이 정지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天干의 合은 合의 상태에 따라 四柱의 吉凶이 달라진다.(후술)
 
⑴ 甲己合化 土가 되려면 월지가 辰戌丑未月이 되면 土로 변한다.
⑵ 乙庚合化 金이 되려면 월지가 申酉月에 해당하면 金으로 변한다.
⑶ 丙辛合化 水가 되려면 월지가 亥子月에 해당하면 水로 변한다.
⑷ 丁壬合化 木이 되려면 월지가 寅卯月에 해당하면 木으로 변한다.
⑸ 戊癸合化 火가 되려면 월지가 巳午月에 해당하면 火로 변한다.
 
2. 지지육합(地支六合)
   
1) 지지(地支) 육합(六合)도 天干合과 마찬가지로 음과 양이 만나 合을 이루며 모두 12개의 地支가 다른 하나와 合을 함으로 총 6개의 合을 이루는 것을 六合 또는 지지육합(地支六合)이라고 한다.
 
⑴ 子 + 丑 = 合化 → 土 <상극합>
⑵ 寅 + 亥 = 合化 → 木 <상생합>
⑶ 卯 + 戌 = 合化 → 火 <상극합>
⑷ 辰 + 酉 = 合化 → 金 <상생합>
⑸ 巳 + 申 = 合化 → 水 <상극합>
⑹ 午 + 未 = 合化 →(불변) <상생합>
  
2) 위와 같이 合이 되며 天干合과 마찬가지로 四柱를 감명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지지육합(地支六合)의 요점은 合한 五行이 길신(吉神)이면 좋고 흉신(凶神)이면 나쁘다는 것이다. 또한 合을 했더라도 완전하게 오행이 변하는 것은 아니나 그 힘은 弱해진다.
 
3. 지지삼합(地支三合)
 
1) 地支의 三合은 12개의 地支 중 3개의 地支가 음양의 구분없이 合하여 목국(木局), 화국(火局), 금국(金局), 수국(水局)의 4局을 이룬다. 여기서 국(局)이라 함은 그룹, 즉 많다는 뜻이며 식구란 의미도 있다. 이 三合은 다른 合과는 달리 地支의 종합적인 기(氣)를 형성하기 때문에 앞으로 논하게 될 運歲에서 운명상의 吉凶 작용이 뒤바뀌게 될 수 있으므로 대단히 중요한 과정임을 알아야 것이다.
    
⑴ 申 子 辰 三合 = 水局, 반합(준합) = < 申子, 子辰, 申辰 >
⑵ 亥 卯 未 三合 = 木局, 반합(준합) = < 亥卯, 卯未, 亥未 >
⑶ 寅 午 戌 三合 = 火局, 반합(준합) = < 寅午, 午戌, 寅戌 >
⑷ 巳 酉 丑 三合 = 金局, 반합(준합) = < 巳酉, 酉丑, 巳丑 >
 
2) 지지삼합(地支三合)은 合하여 다른 五行으로 변하는데 그 기준은 중간자의 五行에 따른다. 또 3개의 地支가 모두 있지 않고 2개의 地支만 있는 경우에도 合으로 보며 이를 준삼합(準三合) 또는 반합(半合)이라 한다. 그러나 그 힘은 三合의 반에 해당하며, 또한 天干에 투출한 五行으로 가늠한다.
 
3) 三合局의 强弱
 
⑴ (木) → 亥卯未=3/3   亥卯=2/3   卯未=2/3   亥未=1/3
⑵ (火) → 寅午戌=3/3   寅午=2/3   午戌=2/3   寅戌=1/3
⑶ (金) → 巳酉丑=3/3   巳酉=2/3   酉丑=2/3   巳丑=1/3
⑷ (水) → 申子辰=3/3   申子=2/3   子辰=2/3   申辰=1/3
 
4) 삼합국을 월별(月別)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⑴ 亥卯未 木局은 卯月이면서 삼합이 되면 제일 강하고,
다음은 亥月, 다음은 未月에 해당된다.
卯月은 木의 왕절이요 亥月은 木의 生月이며 未月은 木의 고지(庫 支)가 되므로 木局이 가장 약하다 할 수 있겠다.
 
⑵ 寅午戌 火局에서는 午月> 寅月> 戌月이요, 
⑶ 巳酉丑 金局에서는 酉月> 巳月> 丑月이요, 
⑷ 申子辰 水局에서는 子月> 申月> 辰月의 순서로 보면 될 것이다.
      
※ 참고
삼합국에 있어서는 중심자인 子,午,卯,酉가 沖되면 삼합국을 이루기 힘들다고 보며, 첫 字나 끝 자가 충극되었을 때는 삼합국의 성립은 되나 그만큼의 손상을 입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 지지방합(地支方合)
 
1) 방합(方合)은 말 그대로 방위(方位)를 표시하며 계절(季節)을 나타낸다. 三合과는 달리 같은 종류 즉, 형제끼리 合을 이룬다하여 형제합(兄弟合), 또는 회합(會合), 또 회국(會局)이라고도 한다.
 
 
⑴ 寅 卯 辰 合 → 木 (1, 2, 3月) → 봄, 춘(春) = 동방(東方)
⑵ 巳 午 未 合 → 火 (4, 5, 6月) → 여름, 하(夏) = 남방(南方)
⑶ 申 酉 戌 合 → 金 (7, 8, 9月) → 가을, 추(秋) = 서방(西方)
⑷ 亥 子 丑 合 → 水 (10,11,12月) → 겨울, 동(冬) = 북방(北方)
 
2) 지지방합(地支方合)은 위와 같이 합이 된다. 이 방합(方合)은 三合보다는 중요성이 떨어지나 대운(大運)을 볼 때 유용(有用)하게 쓰여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한다. 단 방합의 반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3) 방합에 있어서는 三支가 모두 모여 있어야 된다 하였으니 본기(本氣)가 沖되면 방합(方合)의 성립(成立)이 어렵다 하겠다.
 
4) 예를 든다면 寅卯辰의 木의 방합이 申酉에 충극을 받으면 방합이 깨지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방합과 삼합국을 힘으로 비교한다면 방합은 록왕쇠(祿旺衰)의 모임이요, 삼합국은 생왕고(生旺庫)의 모임으로 방합이 삼합국보다는 훨씬 힘이 강하다 하겠다. 단, 이 모든 것은 월지를 기준으로 명조(命造) 전체의 기세를 잘 판단해야 할 것이다.
    
 
천간지지의 충(沖) 극(剋) 형(刑)
 
상충(相沖)이란 서로 부딪혀 충동(衝動)한다는 뜻이다. 충(沖)이 四柱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인 경향이 강하여 병을 유발하거나 주의(主意)를 잃게 하여 대체로 不吉하다고 본다. 그러나 沖이라고 하여 꼭 나쁜 것만 있는 것이 아니고 좋을 때도 있기 때문에 사주를 잘 살펴 참고해야할 것이다.
 
1. 천간충(天干沖)
 
1) 천간충(天干沖)은 서로 剋하는 관계에 있으면서 또한 음양이 같다. 즉 양대 양, 음대 음끼리 충(沖)이 된다. 天干 충을 칠충(七沖,) 또는 칠살(七殺)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天干을 배열하였을 때 일곱 번째 만나는 천간계(天干界)의 沖이 된다하여 이름 붙여진 것이다.
⑴ 甲 庚 沖 ⑹ 乙 辛 沖
⑵ 丙 壬 沖 ⑺ 丁 癸 沖
⑶ 戊 甲 沖 ⑻ 己 乙 沖
⑷ 庚 丙 沖 ⑼ 辛 丁 沖
⑸ 壬 戊 沖 ⑽ 癸 己 沖
 
2) 위와 같이 간충(干沖)이 형성되며, 이를 엄밀히 말하면 천간극(天干剋)이라고 하는 것이다.
 
2. 지지충(地支沖)
 
1) 지지충(地支沖)도 천간충(天干沖)과 같이 음(陰)과 음(陰) 양(陽)과 양(陽)끼리 만나 충(沖)을 한다. 지지충은 뿌리가 흔들리는 격이므로 천간충보다 四柱에 큰 영향을 준다.
 
⑴ 子 午 沖 ⑷ 卯 酉 沖
⑵ 丑 未 沖 ⑸ 辰 戌 沖
⑶ 寅 申 沖 ⑹ 巳 亥 沖
 
2) 위와 같이 地支가 沖이 되는데 가만히 살펴보면 子午 卯酉 寅申 巳亥沖은 오행의 상극이 되고, 오직 丑未 와 辰戌만이 같은 오행인데도 충이 되는 것이므로 참고 하시기 바란다.
 
3. 지지삼형(地支三刑)
1. 지지 三刑은 三合에서 응용한 것으로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으로 刑하는 것이다 
                                              <표 참조>
三合局
申↓子↓辰↓
寅↓午↓戌↓
巳↓酉↓丑↓
亥↓卯↓未↓
三會方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2) 寅卯辰이 동방木인데 申子辰 水局을 만난다면 水生木하여 왕한 木이 더욱 왕해져서 중화(中和)의 道를 잃게 된다. 그러므로 申형寅하고 子형卯하며 辰형辰한다는 것이다. 巳午未는 南方火인데 寅午戌 火局을 만나면 왕한 火가 더욱 왕해지므로 寅형巳하고 午형午하고 戌형未하게 되는 것이다.
 
3) 申酉戌은 서방金인데 巳酉丑 金局을 만나면 왕한 金이 더욱 왕해지므로 巳형申하고 酉형酉하고 丑형戌한다. 亥子丑은 北方水인데 亥卯未 木局을 만나면 왕한 木이 더욱 왕해지므로 亥형亥하고 丑형未한다.
 
4) 金과 火는 성질이 강렬하기 때문에 金局의 刑은 西方에 있고 火局의 刑은 南方에 있어서 서로 성질이 같은 것끼리 刑하는 것이다. 그런데 木은 낙엽이 지면 氣가 뿌리로 내려가고 亥는 木의 뿌리이며 亥子月에는 木의 氣가 다 뿌리로 돌아간다. 그러므로 寅卯辰 木과 亥卯未 木의 刑은 亥子丑 북방에 있게 된다.
      
5) 寅巳申 삼형에서 세 지지는 모두 오행이 장생하는 지지(地支)다. 그러므로 강한 것끼리 형하므로 제세지형(恃勢之刑)이라고 하는 것이다. 丑戌未 삼형은 모두 土이고 같은 형제끼리 우애가 좋아야 할 텐데 그 반대이니 무은지형(無恩之刑)이라고 하고, 子卯刑은 子는 卯의 인(印)이다. 어머니를 뜻하는 인수 子를 자식 卯가 형하니 무례지형(無禮之刑)이고 하고 辰午亥酉는 같은 글자끼리 刑하므로 自刑이라고 한다.
 
6) 運에서 삼형을 만나면 관재구설, 교통사고, 수술 등의 재난을 당한다. 그러나 격이 바르고 용신이 뚜렷하면 생살지권을 장악한다.<적천수>에서는 刑이라는 원리는 채택할 바가 못 된다고 전한다.
 
⑴ 삼형 - 寅巳申 = 申刑寅, 寅刑巳, 巳刑申 → 지세지형(恃勢之刑)
⑵ 삼형 - 丑戌未 = 戌刑未, 未刑丑, 丑刑戌 → 무은지형(無恩之刑)
⑶ 자형 - 辰刑辰, 午刑午, 酉刑酉, 亥刑亥→ 자 형(子 刑)
⑷ 자형 - 子刑卯, 卯刑子 → 무례지형(無禮之刑)
 
7) 위와 같이 刑이 된다. 여기서 刑이란 寅巳申이든 丑戌未든 3개가 모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두 개만 있어도 형이 된다고 하겠다.
 
8) 형(刑)이란 충(沖)과 유사한 뜻을 가졌으나 그 작용력은 충(沖)에 비해 그 강도가 조금 약한 정도로 생각하면 되겠다.
 
9) 또 자형(自刑)은 酉와 酉, 午와 午처럼 자기들끼리 서로 형(刑)되는 것을 말한다. 刑이 사주에서 작용하는 경우 대부분 형벌을 당하거나 수술을 받는 등 흉하게 작용하나 형살(刑殺)이 용신(用神)이 된 경우는 판검사나 의사, 경찰, 군인과 같이 형권(刑權)을 잡는 경우도 있다.
  
※ 참고
지지(地支)의 충극(沖剋) 관계는 그 강도(强度)에 따라 이름이 정해지는데 “충(沖)”은 제일 강한 것이고, “형(刑)”은 그 다음으로 강한 것이다. 또 다른 “파(破)”와 “해(害)”라고 하는 것이 있으나 사주학(四柱學)에서는 그 작용하는 정도가 미미(微微)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돌아가기 Back
상호: 거봉작명원 직통 010-2752-7414 사무실: 051-751-7414 / 051-753-9762 카톡: cjh7414
주소: 부산시 수영구 수영로 607-1(광안4동) 한서병원옆(광안시장입구) 이메일: saju-park@hanmail.net
COPYRIGHT (C) 거봉작명원.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