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강 사주절기(節氣) 및 오행용사
관리자 2025-02-21
제 5 강 사주절기(節氣) 및 오행용사
 
▶ 사주(四柱)와 절기(節氣)
 
1. 二十四 절기 조견표(早見表)    
월(음)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支 地
寅月
卯月
辰月
巳月
午月
未月
申月
酉月
戌月
亥月
子月
丑月
(節)
입춘
(立春)
경칩
(驚蟄)
청명
(淸明)
입하
(立夏)
망종
(芒種)
소서
   
 (小暑)
입추
(立秋)
백로
(白露)
한로
(寒露)
입동
(立冬)
대설
(大雪)
소한
(小寒)
   
(氣)
우수
(雨水)
춘분
(春分)
곡우
(穀雨)
소만
(小滿)
하지
(夏至)
대서
(大暑)
처서
(處暑)
추분
(秋分)
상강
(霜降)
소설
(小雪)
동지
(冬至)
대한
(大寒)
    
1) 四柱의 원리는 기후(氣候)의 원리 그대로 음양과 오행의 기호인 干支로 풀어 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주해설의 모든 표준은 기상의 법칙에 두게 되는데 특히 기상변화(氣象變化)의 과정으로서 절기(節氣)는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2) 그러므로 日字의 숫자는 사회적으로 사용함이요, 사주해설에 있어서는 거의 무시되며 절령(節令)변화의 실질적 표준이 24절후(節侯)를 중시한다. 따라서 12절(節)은 월령(月令)의 변화 즉 月이 바뀌는 것을 뜻하고, 12후(候)는 중간 기운의 역할을 하므로 中氣라 한다.
 
3) 절후(節侯)에 의해 월령이 결정되는 日字와 단순한 날짜에 의해 月이 바뀌는 형식적인 월과는 크게 상이(相異)하기 때문이다. 즉 입춘(立春), 경칩(驚蟄), 청명(淸明) 등의 절기가 어느 시각에 드느냐가 관건이 되는 것이다. 예컨대 정월(正月)은 입춘이 드는 일(日), 시각(時刻)이 지나야 비로소 문법 그대로 正月인 寅月로 보며, 우수(雨水)가 되면 寅月의 중기(中氣)로 본다. 입춘시각 이전은 전년도 12월(丑月)로 봐야 하며, 입춘시각 이후는 신년(新年) 정월로 보게 되며 四柱의 원리는 철두철미하게 기상(氣像) 절후의 법칙에 일관(一貫)해야 되기 때문이다.
 
2. 24 절기(節氣)
 
 
1) 正月(寅月)의 절기(節氣)
 
(1) 입춘(立春) 양력 2월 4일경.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節氣)로 봄으로 접어드는 것을 알린다. 음력으로는 대개 정월달이며 섣달에 입춘이 드는 경우도 허다하다.
 
(2) 우수(雨水) 양력 2월 19일경.
날씨가 많이 풀려 봄기운이 돋고 초목(草木)이 싹트게 되는 절기로 예로부터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이 있는 때이다.
 
2) 二月(卯月)의 절기(節氣)
 
(1) 경칩(驚蟄) 양력 3월 6일경.
경칩은 땅속에 들어가 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서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뜻이며, 이 무렵에는 개구리들이 나와 알을 낳는다.
(2) 춘분(春分) 양력 3월 21일경.
겨울에 짧았던 낮이 길어져서 밤낮의 길이가 똑같아지는 날이며, 음력으로는 2월인데 바람이 많이 불어서 “꽃샘추위”가 있게 된다.
 
3) 三月(辰月)의 절기(節氣)
 
(1) 청명(淸明) 양력 4월 5일경.
한식(寒食)의 하루 전날이거나 한식(寒食)과 같은 날이 될 수도 있는데,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논농사 준비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2) 곡우(穀雨) 양력 4월 20일경.
봄비가 잘 내리고 온갖 곡식이 윤택(潤澤)해지는 때이다.“곡우(穀雨)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고 하여 그 해 농사를 망친다고 한다.
 
4) 四月(巳月)의 절기(節氣)
 
(1) 입하(立夏) 양력 5월 6일경.
여름이 다가온 것을 알리는 절기이다. 곡우(穀雨) 무렵에 마련한 못자리가 자리를 잡아 농사일이 더욱 바빠지는 때이다.
 
(2) 소만(小滿) 양력 5월 21일경.
여름 기분(氣分)이 나기 시작하면서 식물(植物)이 성장하는 때다. 농가에서는 모내기 준비, 여러 가지 밭농사에 바쁜 계절로 접어든다.
 
 
5) 五月(午月)의 절기(節氣)
 
(1) 망종(芒種) 양력 6월 6일경.
망종은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적당한 때라는 뜻으로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된다.
 
(2) 하지(夏至) 양력 6월 21일경.
일 년 중 낮이 가장 긴 절기이며, 옛 어른들은 모내기를 모두 끝내고 이 때 까지도 비가 오지 않으면 기우제(祈雨祭)를 지냈었다.
 
6) 六月(未月)의 절기(節氣)
 
(1) 소서(小署) 양력 7월 7일경.
소서(小暑)는 작은 더위라는 뜻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때다. 그래서 온갖 과일과 채소가 풍성해지고 밀과 보리도 먹을 수 있다.
 
(2) 대서(大署) 양력 7월 23일경.
대서는 큰 더위라는 뜻으로 몹시 덥고 큰 장마가 지는 경우가 많은 절기가 된다. 이때가 과일 맛이 가장 좋은데 비가 적게 와야 더욱 제 맛이 난다고 한다.
 
7) 七月(申月)의 절기(節氣)
 
(1) 입추(立秋) 양력 8월 8일경.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든다는 뜻을 가진 절기다. 따라서 이 때 부터는 가을 채비를 시작해야 하는데 "어정 7월, 건들 8월." 이라는 말이 전해진다.
 
(2) 처서(處署) 양력 8월 23일경.
처서(處暑)는 여름이 지나 더위가 가신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때는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서 풀이 더 자라지 않는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고 한다.
 
8) 八月(酉月)의 절기(節氣)
 
(1) 백로(白露) 양력 9월 8일경.
백로는“이슬 로(露)”자를 써서 밤에 기온이 내려가고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등, 가을기운(氣運)이 완전히 나타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2) 추분(秋分) 양력 9월 23일경.
하지 이후로 낮이 조금씩 짧아져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때다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고 가을이 왔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9) 九月(戌月)의 절기(節氣)
 
(1) 한로(寒露) 양력 10월 8일경.
한로는 찬이슬이 맺힌다는 뜻이므로 기온이 뚝 떨어지게 되므로 기온이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한다. 농촌은 타작이 한창인 때다.
 
(2) 상강(霜降) 양력 10월 23일경.
상강(霜降)은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 이 무렵은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밤에는 온도가 매우 낮아져서 서리가 맺히는 늦가을이다.
 
10) 十月(亥月)의 절기(節氣)
 
(1) 입동(立冬) 양력 11월 7일경.
겨울로 접어든다는 뜻을 가진 절기로 입동에 날씨가 따뜻하지 않으면 그 해 바람이 독하다고 한다.
 
(2) 소설(小雪) 양력 11월 22일경.
소설(小雪)부터는 살얼음이 잡히고 땅이 얼기 시작해서 점차 겨울 기분이 드는데 이 무렵엔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가 추워진다.
 
11) 十一月(子月)의 절기(節氣)
 
(1) 대설(大雪) 양력 12월 7일경.
대설(大雪)은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을 가진 절기이며, 이 날에 눈이 많이 오면 다음 해 풍년이 들고 푸근한 겨울을 난다고 한다.
 
2) 동지(冬至) 양력 12월 22일경.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동지 다음 날부터는 낮이 다시 길어지기 때문에 고대 사람들은 이 날을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되살아나는 날이라 생각하고 태양신에게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12) 十二月(丑月)의 절기(節氣)
 
(1) 소한(小寒) 양력 1월 6일경.
소한은“작은 추위”라는 뜻이다. 이름으로 보면 "큰 추위"라는 뜻의 대한(大寒)때보다 "소한(小寒)" 때가 가장 춥다고 한다.
 
(2) 대한(大寒) 양력 1월 21일경.
중국에서 겨울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시작해서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지고 대한(大寒)에 이르러서는 최고에 이른다고 했다.
 
▶ 오행용사(五行用事)
 
1. 오행용사(五行用事)의 응용(應用)
 
오행용사(五行用事)란 木, 火, 土, 金, 水의 五行이 각각 일정한 시기(時期)의 계절(季節)에 처하여 그 위력(威力)을 발휘하고 효과를 드러내는 현상(現像)을 말하는데, 천지간(天地間)을 운행하는 오행의 氣는 시간(時間)과 공간(空間)의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제한을 받는데 대체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지닌다.
 
1) 甲乙寅卯의 木은 봄(춘)에 득시득세(得時得勢)하며 그 위력과 효능 을 최대한 발휘한다.(입춘부터 木이 旺하여 72일 동안 계속된다)
 
2) 丙丁巳午의 火는 여름에 득시득세(得時得勢)하며 그 위력과 효능 을 최대한 발휘한다. (입하부터 火가 왕하여 72일 동안 계속된다)
 
3) 庚辛申酉의 金은 가을에 득시득세(得時得勢)하고 그 위력과 효능 을 최대한 발휘한다. (입추부터 金이 旺하여 72일 동안 계속된다)
 
4) 壬癸亥子의 水는 겨울에 득시득세(得時得勢)하고 그 위력과 효능 을 최대한 발휘한다.(입동부터 水가 旺하여 72일 동안 계속된다)
 
5) 戊己辰戌丑未의 土는 매년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되기 전 18일 동안 전체 72일간 득시득세(得時得勢)하고 권위와 효능을 발휘한다
 
2. 오행일수 계산
1) 상기와 같이 한 五行당 72일×5하면 360일이 된다. 1년의 정확한 날짜는 365일이라는 점에서 보면 약간의 착오가 있고, 사계(四季)의 날짜 수 역시 균일하지는 않다. 그러므로 매년마다 춘하추동과 사계(四季)의 날짜수가 다르나 대체로 일치하는 평균을 낸 것이다.
 
2) 즉 木은 봄에, 火는 여름에, 金은 가을에, 水는 겨울에, 土는 4季月에 제일 강하게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사시(四時)의 오행(五行)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1)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뜻
 
(1) 오행은 각기 계절에 따라 旺한 것은 이미 설명했다. 그러나 각각의 오행은 생극제화(生剋制化)하면서 旺한 것이 극(極)에 달하면 반드시 쇠(衰)하게 된다. 이것은 각 四柱에서 天干을 월지에 대입하여 왕(旺)하고 쇠(衰)함 나타낸 것이다.
 
(2) 각 오행의 왕(旺),상(相),휴(休),수(囚),사(死)는 다음과 같다.
 
- 각 五行에서 내가 왕(旺)한 계절은 왕(旺)이 되고,
- 나를 생(生)하는 생아자(生我者)의 계절은 상(相)이 되고,
- 내가 생(生)하는 아생자(我生者)의 계절은 휴(休)가 되고,
- 내가 극(剋)하는 아극자(我剋者)의 계절은 수(囚)가 되고,
- 나를 극(剋)하는 극아자(剋我者)의 계절은 사(死)가 된다.
 
(3) 예를 들어 내가 天干에 있는 日干 木이라면 木이 왕한 寅卯月인 춘절(봄)이라면 왕(旺)이 되고, 나(日干)를 生해 주는 亥子月인 동절(겨울)이라면 상(相)이라 하고, 내가 生하는 하절(여름)인 巳午月이라면 휴(休)가 되고, 내가 극하는 계월(季月)인 辰戌丑未月이라면 수(囚)가 되고 나를 극해 오는 추절(秋節)인 가을이라면 사(死)가 되는 것이다. 
 
2)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조견표(早見表)
五行\
춘(春)
하(夏)
추(秋)
동(冬)
 
비 고
木 →
왕(旺)
휴(休)
사(死)
상(相)
수(囚)
   왕성한 순서
    * 왕상휴수사. 四계월은
        四절입 이전의 18일을
      말한다.
 
    * 이 표는 절대 중요하므로
      꼭 암기하여야 한다.
火 →
상(相)
왕(旺)
수(囚)
사(死)
휴(休)
土 →
사(死)
상(相)
휴(休)
수(囚)
왕(旺)
金 →
수(囚)
사(死)
왕(旺)
휴(休)
상(相)
水 →
휴(休)
수(囚)
상(相)
왕(旺)
사(死)
돌아가기 Back
상호: 거봉작명원 직통 010-2752-7414 사무실: 051-751-7414 / 051-753-9762 카톡: cjh7414
주소: 부산시 수영구 수영로 607-1(광안4동) 한서병원옆(광안시장입구) 이메일: saju-park@hanmail.net
COPYRIGHT (C) 거봉작명원.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