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4 강 十天干과 十二地支의 이해
관리자 2025-02-21
제 4 강 十天干과 十二地支의 이해
    
▶ 십천간(十天干)
 
1. 천간(天干)의 명칭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2. 천간의 유래
 
1) 天干의 유래(由來)는 중국 고대(古代)의 성군(聖君) 황제씨(黃帝氏)께서 당시의 소란(騷亂)했던 세상을 평정(平正)하고 나서 하늘에 제사(祭祀) 기원(祈願)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황제(黃帝)는 하늘로부터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의 영시(靈示)를 받았다는데, 천간(天干)은 십간(十干)으로 하늘의 모양(模樣)을 본 따서 등글게(圓) 배포(配布)하였고, 십이지(十二支)는 모나게(方) 펴서 땅의 모양(模樣)을 상징(象徵)하게 했다. 고문(古文)에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명리요강, 천간론)
 
2) 천(天)은 하늘이요, 하늘은 위에 있는 것이므로, 간지(干支) 중 위에 위치하므로 천간(天干)이라 한다.
 
3) 천간(天干)을 또 그냥 간(干)이라고도 하는데, 천간(天干) 하나하나를 지칭할 때는 간(干), 또는 천간(天干)이라 하고, 천간(天干)은 열 개가 있으므로 합해서 십간(十干)이라고 한다.
 
4) 천간의 음양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3. 天干의 속성(屬性)
 
1) 甲木(+陽木)
 
(1) 글자의 의미(意味)
밭 한가운데에(田) 뿌린 씨앗이 땅 밑으로 뿌리를 내린다(甲)는 뜻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초목(草木)의 최초 생장(生長)을 의미하며 껍질을 뚫고 나오는 모습을 형상화(形象化)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 물상(物像)
하늘에서는 우레(雷)와 청룡(靑龍)을 상징하고, 땅에서는 소나무, 큰 나무, 대림목(大林木), 동량목(棟梁木), 목재<死木>, 통나무, 마른나무
 
(3) 특성(特性)
甲은 재목감, 진취적인 기질, 보스기질, 리더십을 발휘하며, 박식(博識), 문장력과 언변(言辯)이 뛰어나고 책임을 다하는 장점이 있다.
 
2) 乙木(-陰木)
 
(1) 글자의 의미(意味)
뿌리 내린 초목(草木)이 흙을 뚫고 싹터 올라 지엽(枝葉)으로 갈라지며 뻗어 오르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생명력(生命力)을 상징한다. 인간의 눈으로는 분별하기 힘들지만 살아 있다는 것은 항상 움직인다.
 
(2) 물상(物像)
하늘에서는 바람(風)을 상징하고, 땅에서는 화초(花草), 유실수(有實樹), 넝쿨식물, 곡식(穀食), 채소, 잔디, 생목(生木), 묘목(苗木), 유목(幼木), 습목(濕木),
 
(3) 특성(特性)
乙木은 부드럽고 유약(柔弱)하게 보이나 어떠한 일이든 무리하지 않고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고 인화(人和)에 힘쓰는 타입이다.
 
3) 丙火(+陽火)
 
(1) 글자의 의미(意味)
丙은 하늘(天)이 양 날개를 땅으로 내리 펴면서 빛과 열(熱)로 암탉이 알을 품듯이 만물을 감싸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양기(陽氣)가 충만(充滿)하여 만물(萬物)이 두드러지게 자라는 것을 의미한다.
 
(2) 물상(物像)
하늘의 태양(太陽)을 상징하며, 모든 열과 빛의 모체(母體)에 해당한다. 광선(光線), 타오르는 불<열화(烈火), 큰불>, 화약(火藥), 폭발물(爆發物), 인화물(引火物), 방사선(放射線), 발산(發散), 광명(光明).
 
(3) 특성(特性)
밝고 환한 태양처럼 쾌활하며, 매사에 정열적이고 적극적이며, 화끈하며 언변(言辯)이 좋고 매사에 푸짐하며, 입으로 벌어먹는 사람이 많으나 불같이 급한 성격 때문에 실수가 많고 매사에 싫증을 빨리 느낀다.
 
4) 丁火(-陰火)
 
(1) 글자의 의미(意味)
丁火는 땅에서 움튼 한 줄기 생명의 기운이 치솟듯 자라나 하늘까지 다다랐다는 뜻을 상징한다. 만물(萬物)이 성숙(成熟)하여 힘이 넘치는 변화의 모습을 상징하며, 장성한 청년이 되면 장정(壯丁)이라고 한다.
 
(2) 물상(物像)
하늘에서는 별(星)이요 은하계를 상징하며, 땅에서는 살아있는 불<생화(生火), 활화(活火)>로서 주로 작은 빛이나 열(熱)을 나타낸다. 등불, 촛불, 화롯불, 난로, 가스레인지, TV, 컴퓨터, 오락기, 등대, 등.
 
(3) 특성(特性)
丁火는 내면적으로는 자존심과 집념(執念)이 대단히 강하고 정신력(精神力)이 뛰어나다. 헌신적(獻身的)이고 봉사적(奉仕的)인 데가 많으며, 파사현정(破邪顯正)하는 선비정신이 강하다.
 
5) 戊土(+陽土)
 
(1) 글자의 의미(意味)
戊土는 무성할 무(茂)자에서 생긴 글자로서, 만물(萬物)이 더욱 아름답고 무성(茂盛)하게 자란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물상(物像)
하늘에서는 안개<무(霧)>와 노을<하(霞)>을 상징하며, 땅에서는 대지를 품에 안은 높고 큰 산, 넓은 벌판, 강과 호수를 막는 제방, 운동장, 넓은 광장, 황야(荒野), 언덕 및 높은 고개, 성곽(城郭)이나 축대(築臺)굳어있는 고토(固土)와 마른 땅인 조토(燥土)가 戊土에 해당한다.
 
(3) 특성(特性)
태산처럼 믿음직스럽고 언행(言行)이 신중함은 물론 온후(溫厚)하면서도 아량이 넓고 후덕(厚德)하다. 신용을 중히 여기며, 매사에 생각이 깊고 질서가 있으며, 포용하고 중화(中和)와 중용(中庸)을 지킨다.
 
6) 己土(-陰土)
 
(1) 글자의 의미(意味)
己土는 무성(茂盛)하게 자란 만물(萬物)이 자기 몸을 일으킨다는 뜻에서 “일어날기(起)”자에서 따왔다고 하는데 만물이 완전하게 성숙(成熟)하고 성립(成立)했다는 뜻을 의미(意味)한다.
 
(2) 물상(物像)
하늘에서는 구름(雲)을 나타내며, 땅에서는 전답(田畓), 옥토(沃土), 윤토(潤土), 활토(活土), 대지(大地), 전원(田園), 정원(庭園), 화원(花園), 잔디밭, 평야(平野), 도로, 작은 분지(盆地), 사토(沙土), 해수욕장 등.
 
(3) 특성(特性)
순박(淳朴)하고 부드러우며 대의(大義)와 중용(中庸)을 지키는 형으로 언행이 일치하고, 어머니와 같은 자애로움과 포용력을 지니고 있다.
 
7) 庚金(+陽金)
 
(1) 글자의 의미(意味)
庚金은 성숙(成熟)해진 만물(萬物)이 그 모습을 바꾼다는 뜻에서 “고칠 갱(更)” 자에서 따왔다고 하는데, 만물(萬物)의 기운이 팽창(膨脹)에서 수축(收縮)으로 정기(精氣)를 견고하게 잘 수렴(收斂)하여 열매가 여문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물상(物像)
庚金은 하늘에서는 달(月)과 서리(霜), 우박을 나타내고, 땅에서는 아직 제련되지 않은 금철(金鐵), 무쇠, 원석(原石), 바위, 강금(剛金), 금고, 철강, 기계, 자동차, 중장비, 열차, 무기고,
 
(3) 특성(特性)
개혁(改革), 의리(義理), 오곡백과(五穀百果)가 무르익는 결실,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 견강(堅剛)한 기세를 숙살지기(肅殺之氣)라 하며, 살상이나 억압 또는 정화(淨化)나 변혁(變革)을 나타낸다.
 
8) 辛金(-陰金)
 
(1) 글자의 의미(意味)
辛金은 새롭게 이루었다는 의미에서 “새 신(新)”자에서 따왔다고 하는데, 庚으로 모습이 바뀌고 결실(結實)을 맺은 열매가 익어 완전하게 새로워진다는 뜻을 의미한다.
 
(2) 물상(物像)
하늘에서는 서리(霜)를 상징하고, 땅에서는 金氣의 본질(本質)을 의미하며, 금은(金銀), 보석(寶石), 제련된 금속, 비철금속, 정밀한 반도체, 고체(固體), 조약돌, 바늘, 칼, 정밀기 등에 속한다.
 
(3) 특성(特性)
섬세하고 깔끔하며 단단하고 야무지다. 정의(正義), 공론(公論)으로 정확한 기획능력, 계산능력이 있으며 자존심이 강하거나 욕심이 많다.
 
9) 壬水(+陽水)
 
(1) 글자의 의미(意味)
壬水는 임신한다는 뜻의 “아이밸 임(妊)”자에서 따온 것인데, 모든 생물이 壬이란 수액<정액(精液)>으로 잉태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열매가 씨앗이 되어 땅속에서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는 것을 의미한다.
 
(2) 물상(物像)
하늘에서는 눈이나 비, 또는 큰비를 머금고 있는 먹구름을 나타내며 땅에서는 도도히 흐르는 강물, 호수, 바다, 댐을 나타낸다. 또한 물은 모든 생명의 시원(始原)인 종자(種子)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3) 특성(特性)
선천적으로 두뇌가 총명하며 창의력이 뛰어나고, 선견지명(先見之明)이 있고 심오한 지혜(智慧)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너무 머리가 좋아 남을 무시하거나 남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소지도 많다.
 
10) 癸水(-陰水)
 
(1) 글자의 의미(意味)
癸는 헤아리고 분별한다는 뜻에서 “헤아릴 규(揆)” 자에서 따왔다는데, 壬水로 잉태한 새 생명이 음양으로 분별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2) 물상(物像)
癸水는 음수(陰水)요 약수(弱水)로서 하늘에서는 우로(雨露)를 상징하며, 땅에서는 샘물과 같은 생수(生水)와 활수(活水), 원천(源泉)과 윤하수(潤下水)로서 만물을 자양(慈養)하는 근본이라 할 수 있다.
 
(3) 특성(特性)
지모(智謀)가 뛰어나고 아이디어가 특출(特出)하며, 준법정신이 좋으면서도 임기응변(臨機應變)에 능하다. 항상 변화에 민감하면서도 대응능력이 뛰어나 지도자가 되기보다는 참모나 보좌(輔佐)역할이 더 낫다.
 
▶ 십이지지(十二地支)
 
1. 지지(地支) 의 명칭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쥐   소    범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2. 지지의 유래
 
1) 지지(地支)의 유래(由來)는 중국 고대(古代)의 성군(聖君) 황제씨(黃帝氏)께서 당시의 소란(騷亂)했던 세상을 평정(平正)하고 나서 하늘에 제사(祭祀) 기원(祈願)한 일이 있는데, 이 때 황제(黃帝)는 하늘로부터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의 영시(靈示)를 받았다는데, 천간(天干)은 십간(十干)으로 하늘의 모양(模樣)을 본 따서 등글게(圓) 배포(配布)하였고, 십이지(十二支)는 모나게(方) 펴서 땅의 모양(模樣)을 상징(象徵)하게 했다. 고 고문(古文)에서 설명하고 있다.(명리요강, 지지론)
 
1) 지지(地支)는 간(干)의 아래에 위치한 것이 지(支)라 하는데, 지(支)는 땅이요, 땅은 하늘 아래에 있으므로 천간(天干) 아래에 위치한다. 그래서 땅 지(地)를 붙여 지지(地支)라 한다.
 
2) 지지(地支)에는 열두 개가 있으므로 십이지(十二支)라 한다. 지지(地支) 하나하나를 칭(稱)할 때는 지(支), 또는 지지(地支)라 하지만 열두 개의 지(支)를 총칭(總稱)할 때는 십이지지(十二地支)라 한다.
    
3)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子, 寅, 辰, 午, 申, 戌은 양지(陽支)가 되고,
丑, 卯, 巳, 未, 酉, 亥는 음지(陰支)가 된다.  
 
※ 子水와 午火가 원래 체는 양이나 용이 음이므로 음으로 쓰여 지고,
亥水와 巳火는 원래 체는 음이나 용이 양이므로 양으로 쓰여 진다. 
 
3. 지지(地支)의 속성(屬性)
 
1) 子水(양水, 양변→음)
 
(1) 글자의 의미(意味)
씨앗의 의미와 시작을 의미하고, 처음의 뜻을 내포하는데 천기(天氣)가 동(動)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子는 갓난아기를 본뜬 모양이다.
 
(2) 子水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子는 만물의 근원(根源)으로 정자(精子), 난자(卵子), 종자(種子), 전자(電子), 원자(原子)에 해당하고, 天干 癸水와 같은 특성을 지니다.
 
2) 丑土(음土)
 
(1) 글자의 의미(意味)
얽매인 상태나 묶여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지기(地氣)가 열리는 때이며, 물건을 꽉 잡아서 “묶으려고” 하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2) 丑土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농토(農土), 전답토(田畓土), 동토(凍土), 습토(濕土), 중개인(仲介人)등에 해당하고 天干 己土와 같은 특성을 지닌다.
 
3) 寅木(양木)
 
(1) 글자의 의미(意味)
끌어당기며 움직여 나오는 의미로 만물(萬物)이 생성(生成)되기 시작하는 때이며 사람이 활동을 시작하는 때이다.
 
(2) 寅木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조목(燥木), 눈목(嫩木), 다년생목(多年生木), 목재(木材), 의류(衣類), 서류(書類), 등에 해당하고 天干 甲木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4) 卯木(음木)
 
(1) 글자의 의미(意味)
卯는 만물의 씨앗이 땅을 뚫고 솟아나와 발아(發芽)후에 두 갈래로 분리되는 것과 같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것과 같은 뜻을 지니게 된다.
 
(2) 卯木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묘목(苗木), 채소, 과수(果樹), 화초(花草), 일년초(一年草), 생목(生木), 등 연약하고 어린 시절에 해당하고, 天干 乙木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5) 辰土(양土)
 
(1) 글자의 의미(意味)
진(震)의 뜻은 우레를 의미하며, 農(농사 농)에도 있는 것처럼 농사를 지을 때 사용되는 농기구 비슷한 것을 본뜬 모양이다.
 
(2) 辰土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辰은 木의 상승(上昇) 기운을 억제, 조절하고 水의 정기(精氣)를 巳火에 전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윤토(閠土), 습토(濕土)에 해당하고 天干의 戊土와 같은 특성을 지닌다.
 
6) 巳火(음火, 음변→양)
 
(1) 글자의 의미(意味)
巳는 뱀의 몸이 움츠렸다가 앞으로 쭉쭉 뻗으면서 흡사 땅을 긁듯이 기어가기 때문에 “긁다”라는 뜻도 있으며, 또한 만물(萬物)이 이시기(時期)에 이르러 이미 무성(茂盛)해진 것을 나타낸다.
 
(2) 巳火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巳火는 광선(光線)이 아닌 실화(實火)로서 모든 물질을 태우고 녹이는 성질을 갖고 있다. 화학(化學), 인화물질(引火物質), 유류, 가스, 등에 해당한다.
7) 午火(양火, 양변→음)
 
(1) 글자의 의미(意味)
午는 원래 절굿공이 올라갔다 내려왔다 하는 것처럼 “교차한다” 는 의미와 일음(一陰)이 시생(始生)되는 형상에 비유한 文字이기도 하다.
 
(2) 午火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午火는 文明의 불로 사람의 정신문화와 관련이 깊고 인공적인 불, 광선(光線), 등촉(燈燭), 조명구, 天干 丁火의 특성을 지닌다.
8) 未土(음土)
 
(1) 글자의 의미(意味)
未는 나무가 매우 무성한 모양을 본뜬 글자로서 만물(萬物)이 이루어져 맛(味)이 생기기 시작한다는 뜻과 정오(正午)를 넘어 만물(萬物)의 성장(成長)이 그치게 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2) 未土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식물이 성장이 중지되어 水分이 하강하여 결실(結實)을 성숙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조토(燥土), 토기류, 토목기사, 건축자재, 등에 해당하고 天干 己土와 같은 특성을 지닌다.
 
9) 申金(양金)
 
(1) 글자의 의미(意味)
申은 펼쳐진다는 의미가 있으며, 양의 기운이 굴(屈)하고 陰의 기운이 펼쳐진다는 뜻과 만물이 모두 이루어져 신체를 펼친다는 뜻이 된다.
 
(2) 申金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申은 만물이 완성단계에 이르러 천지의 기운을 상통하달(上通下達)하여 결실을 응고(凝固)하고 수축하는 작용을 한다. 원광석, 생철, 금속, 등에 해당하고 天干 庚金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10) 酉金(음金)
 
(1) 글자의 의미(意味)
酉는 갑골 문자를 살펴볼 때 아가리는 좁고 배는 불룩한“ 술단지”를 본뜬 모양이라고 한다.
 
(2) 酉金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酉는 결실을 완성하여 원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금은보화(金銀寶貨), 금속기계류, 세공기사, 침구인(鍼灸人), 효소물질, 장류, 주류(酒類) 등에 해당하고 天干 辛金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11) 戌土(양土)
 
(1) 글자의 의미(意味)
戌은 원래 전투용의 도끼를 본뜬 모양이라고 한다. 도끼, 창, 칼, 활 따위의 무기는 전쟁에서는 물론 사나운 짐승들로부터 자기를 지키고 또 사냥을 하는데 필수품도 되는 것이다.
 
(2) 戌土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戌은 만물의 생성기가 멸진(滅盡)하고 후대를 계승하기 위하여 종핵을 보존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산성토(山城土), 조토(燥土), 등에 해당하고 天干 戊土와 같은 특성을 지닌다.
 
12) 亥水(음水, 음변→양)
 
(1) 글자의 의미(意味)
亥(돼지해)는 원래 갑골문자를 살펴볼 때 사나운 멧돼지를 본뜬 모양이다. 핵(核)의 의미가 있으며, 子水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2) 亥水의 물상(物像) 및 특성(特性)
亥는 一代의 종핵(種核)을 수장(收藏)하며, 동물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며, 바다, 강, 등에 해당하고 天干 壬水와 같은 특성을 지닌다.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음양오행 종합(綜合)
五 行
天 干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地 支
寅 卯
巳 午
辰.戌:丑.未
申 酉
亥 子
음 양
+ -
+ -
+ : -
+ -
+ -
계 절
춘(春)
하(夏)
계월(季月)
추(秋)
동(冬)
     
▶ 육십갑자(六十甲子)
 
1. 육십갑자의 성립(成立)
 
1) 십간과 십이지를 천간은 위에 지지는 아래에 두고 천간순과 지지순서로 짝을 지으면 60개의 간지가 배합되므로 이것을 六十甲子라 한다.
 
2) 간지가 위 아래로 짝을 짓는 데는 반드시 양간은 양지와 배합(配合)되고, 음간은 음지와 배합된다. 그래서 61세에 환갑(還甲)이 된다.
 
2. 육갑순(六甲旬)으로 보는 60甲子
 
①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②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③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④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⑤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⑥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3. 12地支로 보는 60甲子
 
① 子 = 甲子 丙子 戊子 庚子 壬子
② 丑 = 乙丑 丁丑 己丑 辛丑 癸丑
③ 寅 = 甲寅 丙寅 戊寅 庚寅 壬寅
④ 卯 = 乙卯 丁卯 己卯 辛卯 癸卯
⑤ 辰 = 甲辰 丙辰 戊辰 庚辰 壬辰
⑥ 巳 = 乙巳 丁巳 己巳 辛巳 癸巳
⑦ 午 = 甲午 丙午 戊午 庚午 壬午
⑧ 未 = 乙未 丁未 己未 辛未 癸未
⑨ 申 = 甲申 丙申 戊申 庚申 壬申
⑩ 酉 = 乙酉 丁酉 己酉 辛酉 癸酉
⑪ 戌 = 甲戌 丙戌 戊戌 庚戌 壬戌
⑫ 亥 = 乙亥 丁亥 己亥 辛亥 癸亥
돌아가기 Back
상호: 거봉작명원 직통 010-2752-7414 사무실: 051-751-7414 / 051-753-9762 카톡: cjh7414
주소: 부산시 수영구 수영로 607-1(광안4동) 한서병원옆(광안시장입구) 이메일: saju-park@hanmail.net
COPYRIGHT (C) 거봉작명원. ALL RIGHTS RESERVED
TOP